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비감염성 심내막염

작성자:

Guy P. Armstrong

, MD, Waitemata District Health Board and Waitemata Cardiology, Auckland

전체 검토/수정 2022년 7월 6일

비감염성 심내막염은 심장 판막과 심장 내막에 혈전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 증상은 혈전이 떨어져 나와 신체의 다른 곳에서 동맥을 차단할 때 발생합니다.

  • 심장초음파검사와 혈액 배양을 통해 진단합니다.

  • 치료법은 항응고제입니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은, 감염성 심내막염과 같이, 심장 판막이 새거나 정상적으로 열리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동맥은 증식이 헐거워지면서 탈출하고(색전 형성), 혈류를 통해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동하여 이를 막으면서 동맥에 거주하면 차단될 수 있습니다. 때론 차단으로 인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뇌로 연결되는 동맥이 폐색되면 뇌졸중 뇌졸중 개요 뇌졸중은 뇌로 연결되는 동맥이 차단되거나 파열되면서 발생하며, 혈액 공급 소실로 인한 해당 부분의 뇌 조직 괴사(뇌경색)와 급작스럽게 나타나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대부분의 뇌졸중은 일반적인 경우 동맥 차단으로 발생하는 허혈성이나, 일부는 동맥 파열로... 더 읽기 을, 심장으로 연결되는 동맥이 폐색되면 심장마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심장마비;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의 급성 폐색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폐색은 폐색의 위치와 양에 따라 불안정 협심증이나 심장마비(심근경색증)를 유발합니다. 심장마비는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한 심장 조직의 사멸입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경험하는 사람은 보통은 흉부의 압박 또는 통증과 숨가쁨 및/또는 피로를 느낍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이... 더 읽기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심장마비;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흔히 영향을 받는 기관은 폐, 신장, 비장 및 뇌 등입니다. 손가락과 발가락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색전은 흔히 피부 및 눈의 뒤쪽(망막)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의 증상은 색전이 형성될 때 발생합니다. 증상은 감염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합니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

  • 심초음파

  • 혈액 배양

치료가 상이하므로 비감염성과 감염성 심내막염을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중요합니다. 심장초음파검사 심장초음파검사 및 기타 초음파 시술 초음파 촬영은 움직이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내부 구조에서 산란하는 고주파(초음파)를 사용합니다. X-레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심장의 초음파 촬영(심장초음파검사)은 뛰어난 이미지를 제공하고 다음과 같은 이유로 심장 질환을 진단하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비침습적 무해함 비교적 저렴한 검사 광범위하게 이용 가능한 검사 더 읽기 심장초음파검사 및 기타 초음파 시술 에 의해 심장 판막 상의 증식이 발견되는 경우, 비감염성 심내막염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심장초음파검사로는 증식이 감염성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미생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혈액 배양 미생물 배양 감염성 질환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및 기생충 등의 미생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증상, 신체 검사 결과 및 위험 요소를 기준으로 감염을 의심합니다. 먼저 의사는 환자가 감염되었는지 확인한 후에 또 다른 유형의 질병 여부를 검사합니다... 더 읽기 을 실시합니다. 박테리아 또는 기타 미생물이 혈액 배양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 해당 심내막염은 비감염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가염성 심내막염의 원인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에 대한 혈액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의 치료

  • 기저 질환의 치료

  • 항응고제

응고 방지를 위해 와파린과 헤파린 등의 항응고제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항응고제의 장점들은 확인된 바가 없습니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의 발생에 기여하는 기저 질환은 치료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예후는 좋지 않으며, 이는 심장 문제로 인해서라기 보다는 기저 질환의 심각성 때문입니다.

맨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