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

작성자:

David Spiegel

, MD, Stanford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전체 검토/수정 2021년 3월 4일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는 자신의 삶을 외부에서 관찰하는 사람처럼 자신의 신체나 정신적인 과정으로부터 분리된 느낌(이인화) 및/또는 자신의 환경으로부터 분리된 느낌(현실감 상실)이 지속되거나 반복되는 것입니다.

일시적으로 자아감을 상실하고(이인화)/또는 현실감이 상실된 느낌은 일반적으로 발생합니다. 사람들의 약 절반은 한번쯤 자신이나(이인화) 주변환경(현실감상실)에서 분리된 느낌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느낌을 경험하는 경우는 대부분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인화/현실감상실감은 장애로 간주됩니다.

  • 이인화 또는 현실감상실이 저절로 나타나(즉, 약물이나 기타 정신 장애에 의해 발생하지 않음)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나타남

  • 증상 때문에 당사자가 심하게 괴로워하거나 가정이나 직장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게 됨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는 인구의 약 2%에게 나타나며 남성과 여성에게 동일하게 발생합니다.

이 장애는 아동기 초기나 중기에 시작될 수 있습니다. 40세 후에 시작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원인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는 주로 다음과 같은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에게 나타납니다.

  • 아동기에 정서적 학대나 방치 경험

  • 신체적으로 학대를 당함

  • 가정 폭력 목격

  • 부모 중 한 명이 심한 장애가 있거나 정신질환이 있었음

  • 사랑하는 사람이 갑자기 사망함

증상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의 증상은 점진적으로 또는 갑자기 시작될 수 있습니다. 에피소드는 몇 시간이나 며칠간 지속되거나 몇 개월, 몇 달 또는 몇 년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에피소드에는 이인화나 현실감상실이 나타나거나 이 두 가지가 모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의 강도는 경증과 중증을 왔다 갔다 합니다. 그러나 장애가 심할 경우 증상이 나타나서 몇 년이나 수십 년간 같은 강도로 유지되기도 합니다.

이인화 증상에는

  • 신체, 정신, 느낌, 감각으로부터 분리된 느낌이 포함됩니다.

또한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거나 로봇처럼 느껴져 자신의 행동이나 말을 제어할 수 없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 감정적으로나 신체적으로 마비된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될 경우 스스로를 자신의 삶을 외부에서 지켜보는 사람이나 “좀비”같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현실감상실 증상에는

  • 비현실적인 것 같은 주변(사람, 사물 또는 모든 것)에서 분리된 느낌이 포함됩니다.

자신이 꿈 속이나 안개 속에 있거나 유리벽이나 장막으로 자신이 주변과 분리된 것 같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세상이 생기가 없거나, 재미가 없거나, 인공적인 것처럼 보입니다. 세상이 뒤틀린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물이 흐릿하거나, 비정상적으로 뚜렷해 보이거나, 평평해 보이거나, 실제보다 크거나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소리는 실제보다 더 크게 들리거나 부드럽게 들릴 수 있습니다. 시간은 너무 천천히 가거나 너무 빨리 가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장애의 증상은 거의 항상 심한 불편감을 불러옵니다. 어떤 이는 이를 견디지 못하기도 합니다. 불안감과 우울증이 일반적으로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가역적인 뇌손상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이 아닐까 두려워합니다. 자신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걱정하거나 자신이 인지하는 것이 실제인지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스트레스, 우울증이나 불안감 악화, 새로운 환경이나 과도한 자극을 주는 환경 및 수면 부족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종종 증상이 지속됩니다. 증상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 에피소드의 반복(3명당 한 명꼴)

  • 끊임없이 발생(3명당 한 명꼴)

  • 지속됨(3명당 한 명꼴)

증상 설명에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자신이 미쳐가고 있다는 두려움이나 믿음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분리의 경험이 현실이 아니며 자신이 그렇게 느낄 뿐임을 항상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식이 정신병 장애와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를 구별하는 척도입니다. 정신병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이를 항상 간파하지 못합니다.

진단

  • 의사의 평가

  • 간혹 다른 가능한 원인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

의사는 증상에 근거하여 장애를 짐작합니다.

  • 이인화, 현실감상실 또는 둘 다는 재발하기까지 오래 걸립니다.

  • 사람들은 해리성 경험이 실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이들은 증상에 의해 심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증상으로 인해 사회 상황이나 직장에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됩니다.

심리 검사와 특수 구조 인터뷰 및 질문서가 의사의 진단을 도울 수 있습니다.

예후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가 있는 많은 사람들은 특히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이 나타났고 치료로 스트레스를 다스릴 수 있다면 완전히 회복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으며 장애가 만성이 됩니다.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가 저절로 사라지는 사람들도 소수 있습니다.

증상은 지속되거나 반복되더라도, 자신의 감각에 대해 생각하기보다, 여러 가지 생각을 하고 다른 생각이나 활동에 집중할 수 있다면 사소한 문제만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과 주변 세상과 분리되어 있다고 느끼거나 불안감이나 우울증도 있어서 장애로 발전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치료

  • 심리치료

  • 경우에 따라 항불안제 약물과 항우울제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는 치료 없이 증상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장애가 지속, 재발되거나 고통의 원인이 되는 경우에만 치료를 받습니다.

정신 역학적 심리 요법 심리치료 정신질환의 치료에 있어 탁월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정신 건강 장애는 이제 신체적 장애만큼 성공적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정신 건강 장애 치료 방법은 다음 두 범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신체 정신치료학 신체적 치료에는 약물, 전기경련 요법, 기타 뇌를 자극하는 치료(경두개 자기 자극 및 미주 신경 자극 등)가 포함됩니다. 더 읽기 및 인지 행동 요법은 일부에게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는 주로 치료를 요하는 기타 정신 건강 장애(불안 불안 장애의 개요 불안은 사람이 살면서 통상적으로 경험하는 긴장, 걱정 또는 우려를 느끼는 것입니다. 또한, 범불안 장애, 공황 장애, 공포증을 비롯한 광범위한 정신질환에서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장애는 각기 다르지만, 이들 모두 특히 불안과 두려움에 관련된 고통과 기능... 더 읽기 이나 우울증 우울증 지속적 애도 장애에 대한 간략한 논의. 우울증은 큰 슬픔을 느끼고/또는 활동의 흥미나 즐거움이 감소하는 것이며 기능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심한 경우 장애가 됩니다. 최근의 상실 또는 다른 가슴 아픈 사건 이후에 일어나지만, 이 사건에 비해 과하게 일어나며, 적절한 기간을 초과하여 지속됩니다. 유전, 약물 부작용, 감정적으로 고통스러운 사건... 더 읽기 등)와 흔히 관련성이 있거나 이러한 장애로 촉발됩니다. 증상 유발 인자에 해당되거나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 발생에 기여할 수 있는 모든 스트레스도 다스려야 합니다.

도움이 되는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지 기법은 비현실적인 존재 상태에 대한 강박적 사고를 차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행동 기법은 이인화에서 벗어날 수 있는 일에 몰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현실 적응(Grounding) 기법은 오감(청각, 촉각, 후각, 미각, 시각)을 활용하여 자신과 세상에 더욱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큰 음악을 틀거나 얼음 조각을 손에 놓습니다. 이러한 감각은 지나치기 어려우며, 사람들이 현 시점의 자신을 인식하도록 합니다.

  • 정신역동적 기법은 자신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느끼게 하는 견딜 수 없는 갈등, 부정적인 감정 및 경험을 헤쳐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집중합니다.

  • 해리 및 정동(감정 및 사고의 외부 표현)의 순간별 추적 및 라벨링은 사람들이 해리 감정을 인지하고 식별하도록 가르칩니다. 그러한 인지는 일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이 기법은 또한 사람들이 그 순간에 실제 일어나고 있는 것에 집중하도록 돕습니다.

이인화/현실감상실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이 사용되었지만, 그 어떤 것도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지 않았습니다. 항불안제 치료 불안은 사람이 살면서 통상적으로 경험하는 긴장, 걱정 또는 우려를 느끼는 것입니다. 또한, 범불안 장애, 공황 장애, 공포증을 비롯한 광범위한 정신질환에서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장애는 각기 다르지만, 이들 모두 특히 불안과 두려움에 관련된 고통과 기능... 더 읽기 항우울제 우울증에 대한 약물 치료 새로운 유형의 항우울제인 아고멜라틴은 주요 우울 에피소드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 우울증을 치료하는 데 몇 가지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새로운 항우울제 사환 항우울제 더 읽기 는 주로 많은 이인화/현실감 상실 장애 환자들에게 존재하는 불안이나 우울을 완화시킴으로써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항불안제가 이인화 또는 현실감상실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의사는 이러한 약물의 사용을 신중하게 모니터링합니다.

맨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