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사구체신염

(신염 증후군)

작성자:

Frank O'Brien

, MD,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전체 검토/수정 2021년 7월 1일
주제 참고 자료

사구체신염은 사구체(혈액을 여과하는 작은 구멍이 있는, 신장의 현미경 수준 혈관 다발) 질환입니다. 신체 조직의 부기(부종), 고혈압 그리고 소변 중 적혈구의 존재가 특징입니다.

  • 감염, 유전 질환 또는 자가면역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이 사구체신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혈액 및 소변 검사 그리고 때때로 영상 검사, 신장 생검 또는 양자 모두를 바탕으로 진단을 내립니다.

  • 신기능이 개선될 때까지 종종 소금과 단백질 섭취를 제한하고 이뇨제나 항생제를 복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구체신염은 다음일 수 있습니다.

  • 급성: 단기간에 발생

  • 만성: 천천히 발생하여 진행

원인

사구체신염은 다음일 수 있습니다.

  • 신장에서 기원하는 원발성

  • 광범위한 질환으로 인한 속발성

속발성 사구체신염을 야기하는 질환은 신장 이외의 신체의 다른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급성 사구체신염

급성 사구체신염은 세균의 일종인 연쇄구균에 목구멍이나 피부가 감염된 후(예: 패혈성 인두염) 합병증으로 가장 흔히 발생합니다. 연쇄구균 감염 연쇄상 구균 감염 연쇄상 구균 감염은 여러 연쇄상 구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그램 양성 구형(구균) 박테리아(그림 박테리아의 모양 형성 참조)는 패혈성 인두염, 폐렴, 또한 상처, 피부, 심장 판막, 혈류 감염을 포함한 다수의 질환을 야기합니다.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된 이 박테리아는 다양한 방식으로 확산됩니다. 예를 들어, 이 박테리아는 기침... 더 읽기 이후 나타나는 급성 사구체신염(연쇄구균성 사구체신염)은 대개 2~10세 아동에서 감염 이후 나타납니다. 연쇄구균 그리고 폐렴구균 등 다른 유형의 세균 감염, 천연두 수두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작고, 융기된, 물집이 생긴 또는 딱지로 덮인 반점으로 구성된 가려운 특징적 발진을 일으킵니다. 수두는 소아에게 가장 흔히 영향을 미치지만, 백신으로 인해 사례 수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발진이 나타나기 전, 소아는 가벼운 두통, 중등도 열, 식욕 부진 및 전반적으로 아픈... 더 읽기 수두 등 바이러스 감염, 그리고 말라리아 말라리아 말라리아는 원생동물인 열원충의 5가지 종 중 하나에 의한 적혈구의 감염입니다. 말라리아는 발열, 오한, 발한, 전반적으로 아픈 느낌(병감), 때때로 설사, 복통, 호흡곤란, 혼돈, 발작을 야기합니다. 다른 소견으로는 비장 비대, 빈혈(감염된 적혈구 파괴로 인한), 때때로 심장, 뇌, 폐 또는 신장 손상이 포함됩니다. 일반적으로... 더 읽기 등 기생충 감염 또한 급성 사구체신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들 감염 중 하나로 발생하는 급성 사구체신염은 감염후 사구체신염이라 부릅니다.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면역글로불린 A(IgA) 신장병증, 면역글로불린 A 연관 혈관염 면역글로불린 A 관련 혈관염 면역글로불린 A 관련 혈관염(이전 헤노흐-쇤라인 자반)은 가장 빈번하게 소아에서 발생하는 주로 작은 혈관의 염증입니다. 아래 다리의 불그스름한 적자색 융기와 반점 발진이 보통 첫 번째 증상이고, 그 후 발열, 관절통, 소화 불량, 신장 기능부전이 나타납니다. 영향받은 피부의 생검을 통해 진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성인과 소아의 경우, 필요에... 더 읽기 면역글로불린 A 관련 혈관염 , 전신성 홍반 루푸스 전신성 홍반루푸스(SLE) 전신성 홍반루푸스는 관절, 신장, 피부, 점막, 혈관벽을 침범할 수 있는 만성 자가면역 염증성 결합 조직 질환입니다. 관절, 신경계, 혈액, 피부, 신장, 위장관, 폐, 기타 조직과 기관에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와 간혹 기타 검사를 실시하여 진단을 내립니다. 모든 루푸스 환자들은 히드록시클로로퀸을 필요로 하고, 계속하여... 더 읽기 전신성 홍반루푸스(SLE) (루푸스), 저온글로불린혈증 한랭글로불린혈증 혈액에서 이상 단백질 또는 특정 정상 단백질 양의 이상을 유발하는 상태는 혈관을 취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한 혈관이 끊어지면 피부에 타박상(자반)이나 적색 또는 보라색 반점이 발생합니다. 자반을 유발할 수 있는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밀로이드증 한랭글로불린혈증 과감마글로불린혈성 자반 과다점성 증후군 더 읽기 한랭글로불린혈증 , 굿파스처 증후군 굿파스쳐 증후군 굿파스쳐 증후군은 폐로의 출혈과 진행성 신부전이 발생하는 드문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호흡 곤란과 객혈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진단을 내리기 위해 혈액과 소변 검체에 대한 실험실 검사와 흉부 영상 검사가 필요합니다. 영구적인 폐와 신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화학요법 약물)를 사용하거나, 혈장... 더 읽기 , 그리고 다발혈관염이 있는 육아종증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은 종종 코, 부비동, 인후, 폐 또는 신장의 작은/중간 혈관과 조직 염증으로 시작됩니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이 질환은 보통 코피, 딱지 형성을 동반한 비 충혈, 부비동염, 목쉼, 귀 통증, 중이 내 액체, 눈 충혈과 통증, 쌕쌕거림, 기침으로 시작됩니다. 다른 기관들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때때로... 더 읽기 다발혈관염을 동반한 육아종증 을 비롯한 비감염성 질환도 급성 사구체신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급속히 진행하는 사구체신염으로 발전하는 급성 사구체신염은 비정상 면역 반응이 관여한 이상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만성 사구체신염

종종 만성 사구체신염은 IgA 신장병증 또는 막증식성 사구체신염 등 급성 사구체신염을 일으키는 것과 동일한 이상 중 일부가 원인인 것으로 보입니다. 때때로 급성 사구체신염이 해소되지 않고 대신에 오래 지속합니다(만성). 때때로 유전질환인 유전성 신염 알포트 증후군 알포트 증후군은 신장 기능이 나쁘고 소변에 혈액이 존재하며 때때로 난청과 눈 이상이 나타나는 사구체신염을 초래하는 유전성(유전) 질환입니다. (또한 신장 여과 장애 개요와 사구체신염 참조) 알포트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은 대개 X 염색체(여성 성염색체)에 있는 결함 유전자이지만 때때로 비성(보통) 염색체에 있는 비정상 유전자이기도 합니다... 더 읽기 이 만성 사구체신염을 일으킵니다. 만성 사구체신염을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서 원인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사구체신염의 일부 원인

HIV =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

증상

급성 사구체신염이 있는 사람 중 절반 가량은 전혀 증상이 없습니다. 증상이 실제로 나타나는 경우, 첫 번째 증상은 체액 체류에 따른 조직 부기(부종), 적은 소변량, 혈액이 들어 있어 짙은 소변 생성입니다. 부종은 처음에 얼굴과 눈꺼풀의 부종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나중에는 다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신장 기능이 손상됨에 따라 혈압이 올라갑니다(신체의 혈압 조절 신체의 혈압 조절 기능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고혈압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가끔 근본적인 신장 또는 호르몬의 장애로 인해 혈압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비만, 주로 앉아서 지내는 생활양식, 스트레스, 흡연, 과도한 양의 알코올... 더 읽기 신체의 혈압 조절 기능 참조). 어떤 사람들은 졸리거나 착란에 빠지게 됩니다. 나이 든 이들의 경우 구역과 전신 피로감(권태감) 등 비특이 증상이 더 흔합니다.

급속히 진행되는 사구체신염이 나타날 때 쇠약, 피로 그리고 열이 가장 흔한 초기 증상입니다. 식욕상실, 구역, 구토, 복부통증 그리고 관절 통증 또한 흔합니다. 약 50%는 신부전이 나타나기 전 달에 독감 비슷한 병을 앓습니다. 이 사람들에게는 부종이 있으며 대개 소변이 매우 적게 나옵니다. 고혈압은 흔치 않으며 실제로 나타나도 심각한 경우가 드뭅니다.

만성 사구체신염은 대개 무척 경미하거나 미묘한 증상만 일으키기 때문에 대다수 사람에게서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은 채 지나갑니다. 부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혈압 고혈압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고혈압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가끔 근본적인 신장 또는 호르몬의 장애로 인해 혈압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비만, 주로 앉아서 지내는 생활양식, 스트레스, 흡연, 과도한 양의 알코올... 더 읽기 고혈압 은 흔합니다. 이 질환은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도 있는데 신부전은 가려움, 식욕부진, 구역, 구토, 피로 그리고 호흡곤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진단

  • 혈액 검사

  • 소변 검사

  • 신장 생검

의사들은 질환을 시사하는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에서 급성 사구체신염의 가능성을 조사합니다. 또한 (비특이 증상을 평가하거나 일상적인 의학적 평가의 일부로 실시할 수 있는) 실험실 검사 결과가 신기능 부전 또는 혈뇨를 보여주는 사람들에서 가능성을 조사합니다. 검사실 검사에서 다양한 수치의 단백질, 소변 중 혈액 그리고 혈중 고농도 요소와 크레아티닌(노폐물)으로 알 수 있듯이 종종 신장 기능장애가 나타납니다.

사구체신염이 의심되는 경우 대개 신장 생검 조직 및 표본 검체 채취 부위 특이적 생검 및 세포 검체 채취 또한 신장 및 요로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평가에 사용됩니다. ( 요로 개요도 참고.) (신장 조직 검체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신장 생검은 주로 신장의 특수 혈관(사구체)과 요세관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 급성 신장 손상의 이례적인 원인의 진단을 돕는 데 사용됩니다. 종종 이식 신장을 생검하여... 더 읽기 을 하여 진단을 확인하고 원인을 결정짓는 데 도움을 받으며 흉터 생성량과 가역 가능성을 결정합니다.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촬영(CT)의 유도 아래 신장 한 쪽에 바늘을 넣어 신장 생검을 하여 신장 조직을 소량 채취합니다. 신장 생검은 침습 시술이고 때때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대개 안전합니다.

만성 사구체신염은 점진적으로 나타나므로 언제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밝히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몸이 편하고 신기능이 정상이고 아무 증상이 없는 사람에게 의료 검진의 하나로 실시하는 소변 검사 중에 소변 중 단백질과 혈액 세포의 존재가 드러날 때 만성 사구체신염을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대개 초음파촬영이나 CT 등 신장 영상 검사를 실시합니다.

신장 생검이 만성 사구체신염을 다른 신장 질환과 구별하는 가장 신뢰성 있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진행 악화기에 신장 생검을 하는 일은 드뭅니다. 이 경우 신장들은 대개 위축되고 반흔이 있으며 구체적인 원인 정보를 확보할 확률은 낮습니다. 오랫동안 신기능이 나쁘고 영상 검사에서 신장이 비정상적으로 작게 나오면 신장이 위축되고 흉터가 있다고 추정합니다.

사구체신염 원인 파악

원인을 파악할 때 때때로 추가 검사가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감염후 사구체신염을 진단할 때 인후 배양이 연쇄구균 감염의 근거를 제시할 수도 있습니다. 연쇄구균 저항 항체의 혈중 수치가 정상치보다 높을 수 있으며 몇 주에 걸쳐 점차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연쇄구균 인후 감염 외의 감염에 이은 급성 사구체신염은 아직 감염이 분명한 상태에서 종종 증상이 시작되므로 대개 진단하기 쉽습니다.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이들 다른 유형의 감염원 생물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배양과 혈액 검사가 때때로 필요합니다.

사구체신염의 원인으로 자가면역이 의심될 경우 인체의 자체 조직 중 일부를 겨냥하는 항체(자가항체라 함)의 혈액 검사, 그리고 인체 면역계에 관여하는 단백질 시스템인 보체계를 평가하는 검사를 합니다.

예후

사구체 흉터 생성의 심각도 그리고 감염 등 기저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느냐 여부에 따라 급속히 진행하는 사구체신염을 지닌 이들의 예후는 다릅니다. 조기(며칠에서 몇 주)에 치료받은 일부 사람의 경우 신기능이 보존되고 투석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초기 증상이 미묘하고 모호할 수 있기 때문에 급속히 진행하는 사구체신염을 지닌 사람들 대다수는 기저 질환을 알아채기 못하며 신부전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의료진의 도움을 청하지 않습니다.

치료

  • 원인 질환 치료

  • 급속히 진행되는 사구체신염의 경우 면역체계 억제

  • 만성 사구체신염의 경우, 앤지오텐신 전환 효소(ACE) 억제제 또는 앤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RB), 식이 나트륨 섭취 감소

급성 사구체신염

대다수 급성 사구체신염 증례에서 특별한 치료책은 없습니다. 가능할 경우 사구체신염을 일으키는 질환을 치료합니다. 신기능이 회복될 때까지 단백질과 나트륨이 적은 식사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장이 과도한 나트륨과 수분을 배출하도록 돕기 위해 이뇨제를 처방할 수도 있습니다. 고혈압은 치료할 필요가 있습니다.

급성 사구체신염의 원인으로서 세균 감염이 의심될 경우, 신염은 감염 이후 1~6주 사이에(평균, 2주) 시작되고 이때쯤이면 감염은 해소된 상태이므로 항생제는 대개 효과가 없습니다. 하지만 급성 사구체신염이 발견되었을 때 여전히 세균 감염이 있다면 항생제 치료를 시작합니다. 말라리아 때문에 사구체신염이 생긴 경우 항말라리아 약물이 유익할 수 있습니다.

사체구신염을 일으키는 일부 자가면역 질환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계를 억제하는 약물들 또는 양자 모두를 써서 치료합니다.

신속 진행성 사구체신염

급속히 진행되는 사구체신염의 경우 면역계를 억제하는 약물을 즉시 투여합니다. 일주일 정도 고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대개 정맥 주사하고 이어 다양한 기간에 걸쳐 경구 투여합니다. 면역억제제인 시클로포스파미드 또한 투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때때로 혈장 교환을 이용하여 혈액에서 항체를 제거합니다. 치료가 이를수록 신부전 가능성 그리고 투석 필요성은 줄어듭니다. 신부전이 있는 만성 신장 질환자의 경우 때때로 신장 이식 신장 이식 신장 이식은 살아있거나 최근에 사망한 사람의 건강한 신장을 제거하여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이식하는 것입니다. ( 이식의 개요도 참조.) 비가역적인 신부전이 있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신장 이식은 투석을 대신할 수 있는 생명 보존 대안입니다. 2019년 미국에서 23,401건의 신장 이식이 있었습니다. 이는 가장 흔한 유형의 장기 이식... 더 읽기 신장 이식 을 고려해 보지만 급속히 진행하는 사구체신염은 이식 신장에서 재발할 수 있습니다.

만성 사구체신염

추가 정보

다음과 같은 일부 영문 자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본 매뉴얼은 이 참고 자료의 내용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맨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