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검사 |
---|---|---|
항문 또는 직장 질 | ||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장질환(IBD) 개요 염증성 장질환의 경우 장(창자)에는 염증이 생겨서 종종 재발성 복통 및 설사를 일으킵니다. 염증성 장질환(IBD)의 주요 종류 2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이러한 두 개 질환은 유사한 점이 많으며 서로 구별하기가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더 읽기 (예를 들어, 크론병 크론병 크론병은 일반적으로 만성 염증이 소장 하부, 대장 또는 이 두 부분과 모두 관련되며 소화관의 어느 부분에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부적절하게 촉발된 면역 체계로 인해 크론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 읽기 | 고름 배출 직장(가끔 발생) 및/또는 복부(자주 발생)의 통증 가끔 설사 | 내시경을 이용한 대장, 직장 및 항문 등의 하부 부분 검사(구불창자내시경검사) 또는 전체 대장 검사(대장내시경검사) |
내치핵의 경우 출혈(화장지 또는 변기에 묻은 소량의 혈액) 외치핵의 경우 항문의 고통스러운 부풀어오른 종괴 | 의사의 검진 내시경(항문경검사) 또는 구불창자내시경검사를 통한 일반적인 직장 검사 | |
감염 | ||
염증이 발생된 적색 부위, 때때로 육안으로 보이는 긁힌 부위 | 의사의 검진 | |
항문 주변의 발진 | 의사의 검진 때때로 (진균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미경으로 피부 찰과 검체에 대한 검사 | |
대개 아동에게서 나타남 때때로 여러 명의 가족 구성원에게 존재 | 요충 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항문 부위에 붙여 놓았던 투명 테이프에 대한 현미경 검사 | |
강렬한 가려움, 일반적으로 야간에 악화 다른 신체 부위에서의 가려움 가능성 영향받은 부위에 분홍색의 얇고 경미하게 융기된 선이나 소름(돌기) 존재 여부 | 의사의 검진 피부 찰과에 대한 검사 | |
피부 질환 | ||
가렵고 적색이며 삼출성의 가피성 발진 | 의사의 검진 | |
항문 주변의 피부암(항문 주변 피부) | 비늘성 또는 가피성 부위 | 조직 검체 검사(생검) |
때때로 피부의 가렵고 고통스러운 패치 | 의사의 검진 | |
항문의 작은 조직판 | 의사의 검진 | |
약물 | ||
항생제 | 현재 또는 최근의 항생제 사용 | 증상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항생제 제거 |
음식 및 식이 보조제 | ||
맥주, 카페인, 초콜릿, 후추, 유제품, 너트, 토마토 제품, 감귤류의 과일, 향신료 또는 비타민 C정 | 물질 섭취 후에 발생하는 증상 | 증상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식단에서 해당 물질 제거 |
위생 관련 문제 | ||
환자가 설명한 다한증, 특별히 꽉 끼거나 합성 의류를 착용했을 경우의 다한증 | 증상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땀흘림 제한 조치(예를 들어, 헐렁한 면 속옷 입기 및 속옷 자주 갈아입기) | |
항문 부위의 지나치게 꼼꼼한 세정 또는 공격적인 세정 불충분한 세정 | 환자가 설명한 지나친 세정 습관 | 증상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정 습관 변경 |
피부 자극원 | ||
조제 마취약, 연고, 비누, 위생 물수건 | 환자가 설명한 자극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는 물질 사용 | 증상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물질 회피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진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