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 특징† | 진단 접근법‡ |
---|---|---|
외이(전도성 상실) | ||
폐색(귀지, 이물질[이물체], 외이 감염, 또는 드물게 종양에 의해 유발되는) | 의사의 검진 중 눈으로 확인 가능 | 의사의 검진 |
중이(전도성 상실) | ||
중이염( 급성 중이염(급성) 급성 중이염은 중이의 박테리아성 또는 바이러스성 감염을 말합니다. 급성 중이염은 종종 감기 또는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서 발생합니다. 감염된 귀는 아픕니다. 의사들은 진단을 내리기 위해 고막을 검사합니다. 일부 일상적인 아동기 예방접종이 급성 중이염의... 더 읽기 | 보통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고막(의사 검진 중 확인) 때때로 어지러움, 귀 통증이나 먹먹함, 또는 귀 분비물 흔히 다양한 과거 귀 감염 | 고실계측법(소리가 귀를 통해 얼마나 잘 지나가는지 측정하는 장치를 귀에 배치) 중증 또는 재발성 감염의 경우 영상 촬영 |
종종 눈에 보이는 고막 천공 고막 천공 천공은 고막에 있는 구멍을 말합니다. 고막 천공은 중이염과 손상에 의해 유발됩니다. 천공은 때때로 귀 출혈, 청력 상실, 또는 귀울림과 함께 급성 귀 통증을 유발합니다. 의사는 검이경을 통해 천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막은 저절로 치유되지만... 더 읽기 최근 명백한 손상을 입은 사람에게서 나타남 | 의사의 검진 | |
귀경화증 | 흔히 유사한 청력 상실을 겪은 가족 구성원 느리게 악화되는 청력 상실 종종 20대와 30대에 시작되는 청력 상실 | 고실계측법 |
흔히 의사 검진 중 눈으로 확인 가능한 종양 한쪽 귀의 청력 상실 |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또는 MRI | |
내이(지각 상실) | ||
유전 질환 | 흔히 유사한 청력 상실을 겪은 가족 구성원 종종 다른 기관계의 질병 동반 | 유전자 검사 내이의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및/또는 MRI |
소음 노출 | 보통 병력에 명백히 나타남 소음이 얼마나 시끄러운지와 노출 기간이 얼마인지에 따라 일시적 또는 영구적 청력 상실 | 의사의 검진 |
고령의 나이(남자의 경우 55세 이상, 여자의 경우 65세 이상) 양쪽 귀의 점진적인 청력 상실 | 의사의 검진 | |
다음과 같이 귀를 손상시키는 약물( 이독성 약물 약물에 의한 귀 장애 많은 약물들(이독성 약물)이 귀에 손상을 가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이독성 약물들은 항생제 스트렙토마이신, 토브라마이신, 겐타마이신, 네오마이신, 반코마이신, 특정 화학요법 약물들(예: 시스플라틴), 푸로세미드, 아스피린을 포함합니다. 약물 귀독성이 나타나는지에... 더 읽기 )
| 최근 원인이 되는 약물을 사용한 사람에게서 나타남 양쪽 귀의 청력 상실 때때로 어지러움 및 균형 상실 | 의사의 검진 때때로 혈액 약물 수치 |
다음과 같은 감염 | 명백한 감염의 병력 감염 중 또는 직후에 청력 상실 | 의사의 검진 |
다음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 관절 염증과 발진 흔히 장애를 갖고 있다고 알려진 사람에게서 나타남 | 혈액 검사 |
저주파수 청력 상실의 에피소드(일반적으로 한쪽 귀에서만) 귀의 먹먹함 때때로 귀의 울림이나 윙윙거림( 귀울림 귀 울림 및 윙윙거림 귀에서의 울림(이명)은 환경보다는 귀로부터 시작되는 소음을 말합니다. 이는 특정한 질환이 아니라 증상입니다. 이명은 매우 흔하며, 10%에서 15%의 사람들이 이명을 어느 정도 경험합니다. 이명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듣는 소음은 윙윙거리거나, 울리거나... 더 읽기 ) 및/또는 회전이나 움직임의 거짓 감각( 현기증 어지러움 및 현기증 어지러움은 사람들이 대개 다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관련된 감각들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부정확한 용어입니다. 실신(의식을 잃을 것 같은 느낌) 어지러움 평형이상(균형을 잃거나 불안정한 감각) 멍하거나 현기증이 나는 것 같은 감각 더 읽기 ) | 종양을 배제하기 위해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MRI | |
한쪽 또는 양쪽 귀의 난청 원인이 되는 활동(예: 스쿠버 다이빙, 비행기의 빠른 하강) 중 또는 귀에 타격을 받은 후 갑작스러운 발병 때때로 통증, 폭발음, 어지러움 또는 귀 울림을 동반 | 고실계측법 전기눈떨림검사(안진이라고 알려진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눈의 불수의 운동을 기록하는 검사)를 동반하는 균형 검사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또는 MRI | |
최근 명백한 중증의 손상을 입은 사람에게서 나타남 아마도 어지러움 또는 늘어지는 얼굴 근육 때때로 감염된 귀에서 나오는 액체(혈성, 혈액이 약간 섞인, 또는 투명한) 또는 고막 뒤 출혈 |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또는 MRI | |
청신경병증 | 소리는 잘 감지하지만 단어를 잘 이해하지 못함 | 특수 청각 검사 조영제(가돌리늄)를 사용한 MRI |
신경계(신경 상실) | ||
다음과 같은 종양 | 한쪽 귀의 청력 상실, 흔히 귀울림 귀 울림 및 윙윙거림 귀에서의 울림(이명)은 환경보다는 귀로부터 시작되는 소음을 말합니다. 이는 특정한 질환이 아니라 증상입니다. 이명은 매우 흔하며, 10%에서 15%의 사람들이 이명을 어느 정도 경험합니다. 이명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듣는 소음은 윙윙거리거나, 울리거나... 더 읽기 과 함께 흔히 어지러움 또는 현기증, 균형 장애 때때로 얼굴 근육의 늘어짐 및/또는 얼굴의 무감각 및 후각 이상 | 조영제(가돌리늄)를 사용한 MRI |
탈수초 질환 다발성 경화증(MS) 및 관련 장애 (예, 다발 경화증) | 한쪽 귀의 청력 상실 때때로 신체의 여러 부분에서 나타났다 사라지는 쇠약 및 무감각 |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뇌와 척수 MRI 때때로 척추 천자(요추 천자) |
* 각 그룹의 원인은 대략적인 빈도의 순서에 따라 나열되었습니다. |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사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 항상 청각학적 검사와 함께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추가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 및 청각학적 검사를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다시 말해, 추가 검사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 전도성 및 지각 신경 청력 상실의 혼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MRI = 자기공명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