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 작용 기전 | 설명 |
---|---|---|
복압 요실금을 일으키는, 요도괄약근이나 골반 근육의 약화(방광출구 부전) | ||
둘록세틴 | 요도괄약근 수축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다른 많은 약물들처럼 철저한 연구를 거치지 않음 미국에서 이러한 사용에 대해 승인되지 않음 |
이미프라민(삼환계 항우울제) | 요도괄약근 수축력을 강화하고 과민성 방광을 이완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과민성 방광과 절박 요실금에도 사용됩니다 FDA는 6세 이상 아동의 야간 요실금( 유뇨증 소아에서의 요실금 요실금은 배변 훈련 후 한 달에 두 번 또는 그 이상 일어나는 소변의 비자발적 방출이라고 정의됩니다. 실금이 다음 시간 동안 존재할 수 있습니다. 낮 시간 동안(주간 또는 일중 실금) 밤에(야간 실금, 유뇨증, 또는 야뇨증) 둘 다(복합 실금) 배변... 더 읽기 )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시적 요법으로서 승인했습니다. |
수도에피네프린(알파 아드레날린 자극제) | 요도괄약근 수축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불안, 불면, 그리고 남성에게서 배뇨 불능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주로 충혈 완화제로 사용되는 OTC 약물 |
남성에게서 절박 요실금이나 범람 요실금을 일으키는 방광출구 폐색의 경우 | ||
알파 아드레날린 차단제:
| 요도괄약근 이완을 돕습니다 | 배뇨 속도를 높이게 마련이고 방광을 더 완전히 비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혈압을 낮추거나 피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5-알파 환원효소 억제제:
| 비대해진 전립선이 줄어들도록 돕습니다 | 효과를 발휘하려면 수주에서 수개월 복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
포스포디에스테라제 제5형(PDE5) 억제제:
| 의사들은 이 약물이 비대해진 전립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실히 모릅니다. | |
절박 요실금 또는 복압 요실금이 있는 과민성 방광 | ||
다리페나신 |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 |
디싸이클로민 | 불수의근을 이완시킵니다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다른 많은 약물들처럼 철저한 연구를 거치지 않음 |
페소테로딘 |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다른 많은 약물들처럼 철저한 연구를 거치지 않음 |
히요스시아민 |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다른 많은 약물들처럼 철저한 연구를 거치지 않음 |
이미프라민(삼환계 항우울제) | 요도괄약근 수축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야간 요실금에 특히 유용함 |
미라베그론(베타 아드레날린성 자극제) | 방광벽을 이완시킵니다 | 혈압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오나보툴리눔독소A (보톨리늄 독소의 일종) | 방광이 비자발적 수축하게 하는, 방광 근육 내 신경 활동을 차단합니다 | 방광에 넣은 방광경을 통해 방광벽에 넣습니다 다른 약물이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신경 질환(예: 다발성 경화증)으로 인한 과민성 방광이 있는 성인의 요실금 치료에 쓰입니다 |
옥시부티닌 | 불수의근 이완, 그리고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이는 것을 포함한 항콜린작용 효과* 등 많은 효과 | 가장 효과적인 약물일 수 있습니다 정제, 피부 패치 그리고 젤 형태로 시판 |
솔리페나신 |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 |
톨테로딘 |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 |
트로스피움 | 방광의 충만용적을 늘리고 방광벽 근육 경련을 줄입니다(항콜린작용 효과*) | — |
비베그론(베타 아드레날린성 자극제) | 방광벽을 이완시킵니다 | 혈압에 대한 명백한 영향 없음 |
범람 요실금이 있는 약한 방광벽 | ||
베타네콜 | 방광벽 근육 수축을 돕습니다 | 대개 효과가 없습니다 홍조, 복부 경련 그리고 심박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 (구강 건조, 변비 그리고 때때로 흐린 시력이나 착란 등) 항콜린작용 효과는 특히 노인의 경우 골치 아픈 일이 될 수 있습니다. | ||
† 이들 약물은 비뇨계를 표적으로 하는 항콜린작용 효과가 있으므로 항콜린작용 효과가 있는 다른 약물에 비해 기타 항콜린작용 부작용이 더 적은 경향이 있습니다. | ||
FDA = 미국 식품의약청, OTC = 일반 의약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