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은 점막 파열 후 바로 분만이 시작됩니다.
만일 분만이 6~12시간 내에 시작되지 않으면 임신부와 태아가 감염될 위험이 증가됩니다.
분만이 점막 파열 후 즉시 시작되지 않고 임신 기간이 34주 이상이고 태아의 폐가 성숙한 경우, 일반적으로 인공적인 방법으로 분만이 시작됩니다(유도).
임신 기간이 34주 미만이고 태아의 폐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다면, 산모는 일반적으로 병원에 입원하여 면밀한 모니터링을 받고, 태아의 폐 성숙에 도움이 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진통을 유발하고 또한/또는 태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감염을 치료하고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받게 됩니다.
임신 기간이 32주 미만이면 뇌성마비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산모에게 황산마그네슘이 투여될 수 있습니다.
점막의 파열은 흔히 “양수가 터졌다” 라고 묘사합니다. 점막 파열 시, 그 때 점막 내의 태아 주위의 체액(양수)이 질에서 흘러나옵니다. 조금씩 샐 수도 있고 쏟아져 나올 수도 있습니다. 점막이 파열하자마자 임신부는 의사 또는 산파에게 연락해야 합니다.
보통, 태아를 포함하는 양수로 찬 점막은 분만 동안에 파열합니다. 그러나 정상적인 임신에서 간혹 분만이 시작하기 전에 점막이 파열합니다—조기진통 파열.
점막의 조기진통 파열은 예정일 가까이나(임신이 만기라고 간주될 경우 37주차 이후) 그 이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37주차 이전에 발생하면 조기진통 파열이라고 함). 점막이 조기에 파열되면, 분만도 조기에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조산 조기 분만 임신 37주 이전에 분만은 조산으로 간주됩니다. 조기에 태어나는 아기들은 중대한 건강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조기 분만 진단은 일반적으로 확실합니다. 휴식이나 일정 약물이 분만을 연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항생제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더 읽기 ).
조기진통 파열의 발생 시점과 관계 없이, 조기진통 파열은 다음과 같은 위험을 높입니다.
자궁이 감염되면 열, 찐득거리거나 악취를 풍기는 분비물 또는 복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조기진통 파열에 의한 조산 발생 시, 미숙 신생아 미숙 신생아 미숙 신생아는 임신 37주 전에 분만된 아기입니다. 태어난 시기에 따라, 미숙 신생아에는 덜 발달된 기관이 있어 자궁 밖에서 기능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전의 조기 출산, 다태 출산, 임신 중의 영양 결핍, 때 늦은 산전 관리, 감염, 보조 생식 기술(체외 수정 등), 고혈압은 조기 출산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더 읽기 의 다음과 같은 위험이 증가합니다.
폐 문제
뇌출혈
사망 가능성
뇌출혈이 있다면 뇌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여 뇌성마비 뇌성마비 (CP) 뇌성마비는 움직임 곤란과 근육 경직(경직성)을 수반하는 일련의 증상들을 가리킵니다. 이는 뇌가 형성되는 출생 전 발생하는 뇌 기형으로 인해 또는 출생 전, 동안 또는 직후 발생하는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뇌성마비의 원인으로는 산소 부족이나 감염에... 더 읽기 와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점막이 파열될 때 임신 24주 미만인 경우, 태아의 사지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
점막 파열 후, 산모의 분만 예정일인 경우 수축은 일반적으로 24시간 내에 시작되지만, 파열이 임신 32~34주 사이에 발생하는 경우 4일 이상 수축이 시작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M의 진단
벌리개를 사용하여 질과 자궁경부 검사
의사나 산파는 벌리개를 사용하여 질벽을 벌리고 질과 자궁경부(자궁의 하단부)를 검사하여 점막이 파열했는지 확인하고 자궁경부가 얼마나 열렸는지(확장했는지) 추정합니다.
의사가 질에서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하면, 점막이 파열되었다고 추정합니다.
점막의 조기진통 파열을 진단받고 태아가 자궁 밖에서 생존할 수 있는 경우, 태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보통 임신부를 병원에 입원시킵니다.
PROM의 치료
임신 34주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인공(유도) 분만
임신 34주 미만이면, 일반적으로 안정, 주로 병원에서 면밀한 모니터링, 항생제 및 간혹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임신 32주 미만이면, 대체로 신생아의 뇌출혈과 뇌 발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황산마그네슘
의사는 분만 지연 시 자궁과 태아의 감염 위험과 신생아가 미숙아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비교하여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의사나 공인 간호사 산파는 다음과 같이 합니다.
임신 34주 이후이면, 태아가 충분히 성숙했다고 간주하여 분만을 인공적으로 시작합니다(유도 출산 유도 출산 유도는 인공적으로 분만을 시작시키는 것이다. 대체로, 자궁을 더욱 자주 강하게 수축하게 하는 약물인 옥시토신을 여성에게 투여하여 분만을 유도합니다. 투여되는 옥시토신은 뇌하수체에서 생성되는 자연적인 옥시토신과 동일합니다. 이 약물은 주입 펌프를 이용해 정맥으로 투여되어 정확한 투여량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자궁의 수축이 유도될 수 있기... 더 읽기 ).
임신 34주 미만이면, 병원에서 감염의 징후나 진통이 있는지 임신부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합니다.
간혹 의사들은 태아 폐가 얼마나 성숙한지 확인하기 위해 양수 검체를 분석합니다. 이 검체는 임신부의 질에서 채취하거나 양막천자 양수천자 산전 진단 검사에는 특정한 유전성 혹은 자연적 유전 질환을 포함하여 태아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출산 전(산전) 태아 검사가 포함됩니다. 임신부 혈액에서 특정 물질의 측정과 함께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면 태아의 유전적 이상 위험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혈액 검사와 초음파 검사는 임신 중 정기 검사의 일부로 실시할 수도 있습니다... 더 읽기 를 통해 채취할 수 있습니다. 양막천자 시, 의사는 복벽을 통해 양수로 바늘을 삽입하여 태아를 둘러싼 막에서 검체를 채취합니다.
태아의 곤란이 중증이거나 자궁이 감염된 경우에는 임신 기간에 관계 없이 일반적으로 분만을 유도하여 아기를 분만합니다.
분만을 연기해야 하는 경우
임신 34주 미만이면 분만을 연기합니다. 산모에게 안정을 취하고 가급적 활동하지 않도록 권장합니다. 산모는 면밀한 모니터링을 받을 수 있도록 입원할 수 있습니다. 임신부의 혈압, 체온, 맥박수는 보통 하루에 3번 기록합니다. 체온이나 맥박수의 증가는 감염의 조기 징후일 수 있습니다. 감염이 시작되면 신속하게 분만을 유도하고 아기를 출산합니다.
파열이 확인되면 항생제 투여를 시작합니다. 보통 항생제(에리스로마이신, 암피실린 및 아목시실린 등)는 며칠은 정맥으로 투여되며 그 후 며칠은 구강으로 투여됩니다. 항생제로 분만을 유발할 수 있는 감염을 치료하여 분만 시작을 지연시키고 신생아의 감염 위험을 줄입니다.
점막이 임신 24~34주 사이에 파열되면, 태아의 폐가 성숙할 수 있도록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합니다.
점막이 다음과 같이 파열되면, 의사들은 또한 여성에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점막이 임신 34주와 37주 사이에 파열되고 여성에게 조산의 위험이 있고 해당 임신에서 이전에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
점막 파열이 임신 23주차에 시작되고 여성이 7일 내에 조산할 위험이 있는 경우
임신 32주 미만이면 임신부에게 황산마그네슘을 정맥을 통해 투여할 수 있습니다. 이 약물은 신생아의 뇌출혈과 그에 따라 발생하는 뇌성마비와 같은 신생아의 뇌 발달 관련 문제에 대한 위험을 실제적으로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