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은 게실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증상에는 음식을 토해내는 것과 삼키기 어려움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바륨 삼킴 X-레이와 흔히 상부 내시경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합니다.
필요할 때는 치료에 수술이 포함됩니다.
식도 인후 및 식도 인후(인두— 인후)는 입의 후방 아래에 있습니다. 음식과 음료가 입을 통과하여 인후를 통과하게 됩니다. 음식과 음료를 삼키는 것은 수의적으로 시작되어 자동으로 계속 진행됩니다. 작은 근육 플랩(후두덮개)은 음식과 음료가 기관(기도) 아래로 내려가서 폐 쪽으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닫혀있습니다. 입천장의 뒷부분(연구개)은 음식 및 음료가... 더 읽기 는 인후(인두)에서부터 위까지 연결되는 빈 관입니다. (또한 식도의 개요 식도의 개요 식도는 인후(인두)에서부터 위까지 연결되는 빈 관입니다. 음식은 그저 식도를 통해 위까지 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식도벽은 꿈틀운동이라고 하는 근육 수축의 율동파를 이용하여 음식을 위까지 보냅니다. 인후와 식도 접합부 바로 아래에는 상부 식도 괄약근이라고... 더 읽기 참조)
식도게실은 다양한 유형이 나타납니다. 식도게실마다 원인은 다르지만 무동조 삼킴 및 근이완과 관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많은 게실은 대부분 식도 연축 식도 연축 식도 연축은 식도 근육 수축의 율동파(꿈틀운동) 장애입니다. 이 장애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증상에는 흉통과 삼키기 어려움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바륨 삼킴 X-레이 및 압력측정 결과를 기준으로 합니다. 치료는 칼슘 통로 차단제, 보툴리눔 독소 주사, 또는 때로는 수술을 포함합니다. 더 읽기 및 이완불능증 이완불능증 이완불능증은 식도 율동 수축(꿈틀운동이라 부름)이 없거나 저하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정상적으로 이완되지 않고 하부 식도 괄약근의 정지압이 증가하는 장애입니다. 이 장애의 이러한 원인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부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 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완불능증의 주요 증상은 삼킴 곤란, 액체 및 음식 구토, 흉통, 체중... 더 읽기 과 같은 식도의 운동성 장애 음식의 이상 추진 구강에서 위까지 음식이 이동하려면 구강과 인후의 정상적인 동조 작용과 식도 근육 수축의 추진파(꿈틀운동이라 부름), 괄약근(음식이 식도에서 위까지 통과할 수 있도록 열려야 하는 근육띠)의 이완이 필요합니다. (또한 식도의 개요 참조) 이러한 기능에 발생하는 문제는 삼키기 어려움(삼킴곤란), 속쓰림, 흉통, 역류(메스꺼움이나 복근의 격렬한... 더 읽기 와 관련이 있습니다.
젠커 게실(인두 게실)
젠커 게실은 아마도 구강을 벗어나는 음식 이동과 반지인두근 이완 간의 비협응(반지인두 비협응 인후의 추진 장애 인후 추진 장애는 인후 상단에서 식도(인후[인두]에서부터 위까지 연결되는 빈 관)로 음식을 이동시키는 데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보통 삼키기 어려움(삼킴곤란)이 있음을 알아차립니다. 또한, 인후 추진 장애가 있는 환자는 흔히 코 뒤를 통해 음식이 역류하거나 기관(기도)으로 음식을 흡입하여 기침이 유발됩니다. 인후 추진 장애는... 더 읽기 )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게실은 음식이 가득 찰 수 있으며 환자가 구부리거나 누울 때 음식을 토할(음식이 역류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 역류로 인해 수면 중에 음식이 폐에 흡입되어 흡인성 폐렴 흡인 폐렴 및 화학성 폐렴 흡인 폐렴은 구강 분비물, 위 내용이나 둘 다를 들이 마셔서 발생되는 폐 감염입니다. 화학성 폐렴은 폐를 자극하거나 폐에 독성인 물질의 흡입으로 인해 발생한 폐 자극입니다. 증상에는 기침과 숨가쁨이 포함됩니다. 의사는 개인의 증상과 흉부 X-레이를 기반으로 진단합니다. 치료와 예후는 흡입된 물질에 따라 다릅니다. 흡인 폐렴과 화학성 폐렴이... 더 읽기 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주머니가 확대되어 삼키기 어려움 삼키기 어려움 일부 환자는 삼킴 곤란(연하 곤란)을 겪습니다. 삼킴곤란에서 음식 및/또는 액체는 인후(인두)에서 위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인후와 위를 연결하는 관(식도)로 내려오는 중 음식 또는 액체가 걸린 것처럼 느낍니다. 삼킴곤란을 인후에의 덩이( 식도 이물감)와 혼돈해서는 안 되며, 인후에 덩이가 느껴지는 환자는 삼킴 곤란을 겪지 않습니다... 더 읽기 (삼킴곤란)과 때로는 경부의 부기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식도중간부 게실(견인성 게실)
식도중간부 게실은 식도 외부 흉강에 위치하는 염증이 식도를 끌어당겨 발생하거나 식도 운동성 장애로 인해 발생합니다. 식도중간부 게실은 증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기저 운동성 장애는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횡격막상부 게실
횡격막상부 게실은 횡격막(복부에서 흉부를 분리하는 근육) 바로 위에 나타나며 대체로 운동성 장애(이완불능증이나 식도 연축 등)를 수반합니다. 횡격막상부 게실은 증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드물지만 기저 운동성 장애는 증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식도 주머니의 진단
바륨 삼킴 X-레이
종종 상부 내시경검사
의사는 바륨 삼킴 검사(식도조영상)를 수행하여 모든 종류의 식도 게실을 진단합니다. 이 검사에서는 X-레이를 촬영하기 전에 대상자에게 액체로 바륨을 투여합니다. 바륨은 식도를 보여주므로 이상이 있는 부위가 쉽게 보입니다. 때로는 바륨 삼킴 검사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의사가 이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의사는 종종 상부 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는 신축성이 있는 관찰 튜브(내시경)를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또한 내시경검사를 통해 의사가 튜브를 통해 기구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내시경을 입으로 통과시켜 식도(식도경검사), 위(위내시경검사), 소장의 일부(상부 위장관 내시경검사) 등을 검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 읽기 를 실시하여 진단을 확인합니다. 상부 내시경검사 중에 의사는 내시경이라 부르는 신축성이 있는 튜브를 이용하여 식도를 관찰합니다.
식도 주머니의 치료
보통 치료 불필요
때때로 수술
게실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각하거나 주머니가 클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주머니를 제거하거나 내시경을 통해 교정할 수 있습니다.
운동성 장애와 관련된 게실은 기본 장애를 치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반지인두근의 기능 이상으로 젠커 게실이 발생하면 젠커 게실을 제거할 때 근육을 절개할 수 있습니다(근절개술이라 부르는 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