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관절염에 대해서는 많은 속설이 남아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골관절염이 흰머리 및 피부 변화와 같이 노화의 불가피한 일부이고, 장애를 거의 초래하지 않으며,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골관절염은 노화와 함께 보다 일반적이 됩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노화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일이 생깁니다.
관절을 에워싸는 연골이 얇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절 표면이 이전처럼 서로의 표면 위로 미끄러지듯 움직이지 않습니다.
관절이 다소 손상되기 쉬워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골관절염은 노화의 불가피한 일부가 아닙니다. 이는 단순히 수 년간의 관절 사용으로 발생하는 마모에서 기인하지 않습니다. 다른 요인들에는 일회 또는 반복 손상, 비정상 운동, 대사 이상, 관절 감염 또는 또 다른 관절 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골관절염은 일반적으로 말년에 장애를 야기합니다.
진통제, 운동, 물리 요법과 같은 효과적인 치료, 일부의 경우 수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대 손상이 노화와 함께 일반적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관절을 연결해 주는 인대가 탄성을 잃게 되어, 관절이 빡빡하거나 경직된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 변화는 인대를 구성하는 단백질의 화학적 변화에서 기인합니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연성을 잃게 됩니다. 인대는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으며 파손 되었을 시 더 느리게 치유됩니다. 인대를 파열시킬 가능성이 높은 운동을 피할 수 있도록, 트레이너 또는 의사는 노인들의 운동 요법을 검토해야 합니다.
때때로 골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은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단순 진통제로 완화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트라마돌 또는 드물게는 아편유사제와 같은 보다 강력한 진통제가 필요할 수 있지만, 의사는 부작용과 발생 가능한 중독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이를 처방합니다. 그러나 이 약물들은 노인들에서 혼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영향받은 관절 위의 피부에 문질러 바르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가 노인들에 보다 효과적인 옵션일 수 있습니다. 경구로 복용하는 경우보다 NSAID는 적게 흡수되어, 부작용의 위험을 최소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