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 예방에서 질환의 발병은 실제로 예방됩니다. 예방접종, 고위험 행동 변화를 위한 상담, 때로는 화학예방이 일차 예방 유형입니다.
이차 예방에서는 흔히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질환을 조기에 탐지 및 치료하여 심각한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이차 예방에는 유방암 검출을 위한 유방조영술과 골다공증 검출을 위한 이중 X-선 흡수계측법(DXA)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병 진단을 받은 사람의 성교 파트너 추적(접촉자 역추적)과 필요하다면 질병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 파트너들을 치료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삼차 예방에서는 기존의 만성 질환을 관리하여 합병증이나 추가 손상을 예방합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 환자에 대한 삼차 예방은 혈당 관리와 우수한 피부 관리, 빈번한 발 검사,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빈번한 운동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뇌졸중 병력이 있는 환자의 삼차 예방은 뇌졸중 재발 방지를 위한 아스피린 복용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삼차 예방에는 부상이나 심장마비, 뇌졸중 이후 재활과 같이 악화를 예방하고 삶의 질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지 및 재활 서비스 제공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삼차 예방에는 침상에 누워 있는 환자의 욕창 방지와 같이 장애인의 합병증 예방도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