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일부 권장되는 선별검사*,†

일부 권장되는 선별검사*,†

조건

검사

대상

빈도

복부 초음파촬영

흡연을 하거나 흡연 이력이 있는 65~75세 남성

1회

음주 습관에 대한 질문

성인

1회 및 달라지는 상황에 따라 정기적으로(예: 스트레스를 새로 받거나 생활방식이 변하는 경우)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 위험의 증가를 나타내는 BRCA 돌연변이에 대한 유전자 상담과 가능한 유전자 검사.

유방암이나 난소암에 걸린 가까운 친척, 일반적으로 직계 가족이 여러 명인 여성

1회

유방조영술

50~74세의 여성

50세 미만인 여성의 경우, 개인화된 선별검사에 대해 담당 의사와 협의

2년마다

MRI(자기공명영상)

고위험 여성(유방암에 걸린 가까운 가족이 있는 경우 등)

유방조영술 검사를 받을 때

파파니콜로(Pap) 검사 또는 다른 유사한 검사 및 때때로 인체 유두종바이러스(HPV) 검사

성관계를 가진 바 있고 자궁경관이 제거되지 않은 모든 여성

21~65세 여성의 경우 3~5년마다

위험 요인에 대한 질문, 혈압 및 체중 측정, 콜레스테롤(지질 프로필) 및 혈당 측정을 위한 혈액 검사

모두

매년 위험 요인에 대한 질문 및 혈압과 체중 확인

3년마다 혈당 수치

5년마다 지질 프로필

소변 검체나 면봉으로 질에서 채취한 검체를 사용한 DNA 검사

성생활을 하는 24세 이하의 여성 및 24세가 넘고 위험 요인(예: 여러 명의 성교 파트너나 성전파 감염)이 있는 여성

첫 번째 산전 검사 방문 중인 모든 임산부

지난 한 해 동안 남성과 성교를 한 적이 있는 남성

매년

대장내시경검사, 구불창자내시경검사, 대변에 혈액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대변 잠혈 검사[FOBT] 또는 대변 면역화학 검사[FIT]) 또는 암 DNA(FIT-DNA)

45~75세의 성인

45세 미만의 성인의 경우, 위험 인자 프로필(가족력이나 특정 장 질환 등)에 따라 개별적인 선별검사에 대해 의사와 상의

평균적인 위험이 있는 사람 - 매년 FOBT 또는 FIT, 1~3년마다 FIT-DNA, 10년마다 대장내시경검사, 5년마다 CT 대장조영술, 또는 매 5년마다 신축성 구불창자내시경검사 또는 FIT를 매년 수행하는 경우 10년마다 신축성 구불창자내시경검사

치과 검진

모두(정기 검진은 첫 번째 치아가 나타날 때 또는 소아의 첫 번째 생일 전에 시작해야 함)

18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은 3~12개월마다

18세 이상의 경우 12~24개월마다

표준화된 설문지 등의 질의

성인 및 11세 이상의 소아

1회 및 스트레스 상황(예: 이혼, 직장이나 생활방식의 변화, 가족의 사망) 동안과 같은 경우 정기적으로

헤모글로빈 A1C 또는 혈당 수치 측정 혈액 검사

45세를 초과하거나 과체중에 해당하고, 고혈압이거나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고/또는 혈액 내 다른 지방(지질)이 높거나, 과거에 혈당 수치가 높았던 성인

과체중이고 2개 이상의 구체적인 위험 요인(가족력, 특정 민족군의 일원, 산모 당뇨병 병력)을 가진 18세 미만의 소아

위험 요인과 이전 검사 결과에 따라 3년마다

소변 검체나 면봉으로 질에서 채취한 검체를 사용한 DNA 검사

성생활을 하는 24세 이하의 여성 및 24세가 넘고 위험 요인(예: 여러 명의 성교 파트너나 성전파 감염)이 있는 여성

첫 번째 산전 검사 방문 중인 모든 임산부

지난 한 해 동안 남성과 성교를 한 적이 있는 남성

1회 및 달라지는 상황에 따라 정기적으로(예: 새 성교 파트너 또는 임신 후)

청력 검사

65세 이상 성인

매년

검사 결과에 따라, 때때로 다른 검사

임신부

최초 산전 방문 시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혈액 검사

임산부, 동거인, IV 약물 사용자, 남성과 성관계를 가지는 남성 및 기타 수많은 위험 요인

최초 산전 방문 시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혈액 검사

1945년에서 1965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과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들(정맥내 약물을 사용한 사람 등)

1회

혈압 측정

성인 및 3세 이상의 소아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또는 연 1회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혈액 및 타액 검사

15~65세의 모든 사람들, 65세를 초과하고 HIV 감염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 모든 임산부

1회 이상 및 새로운 고위험 활동이 나타나는 경우(예: 1명이 넘는 섹스 파트너가 있음, 주사 약물 사용, 남성일 경우 동성간 성행위)

저선량 CT 스캔

30갑년(pack-year)의 흡연력이 있는 55~80세의 사람 중 현재 흡연 중이거나 오직 지난 15년 내에 금연을 한 사람

매년

골밀도 측정을 위한 이중 X-선 흡수계측법(DEX)

1회 이상

신장 및 체중 측정

체질량 지수(BMI) 계산

모든 성인 및 6세 이상의 소아

예정된 병원 방문 시마다 또는 연 1회

시력 저하

모두

소아: 출생 시(감염, 결함, 백내장 또는 녹내장에 대해), 생후 6개월까지 다시(눈 건강, 시력 발달 및 눈 정렬에 대해), 3~4세(후기 발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이상에 대해), 그 후 매년(해마다 양쪽 눈을 각각 확인해야 함)

성인: 18~64세의 경우 2~4년마다

65세 이상의 경우 1~2년마다

감염에 대한 혈액 검사

위험 요소가 있는 성인(성교 파트너 여러 명, 이전 성병 이력, 남성일 경우 동성간 성행위) 및 모든 임신부

1회 및 상황 변화(예: 새 성교 파트너 또는 임신 후)와 같은 경우 정기적으로

질문

모든 청소년 및 성인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 미국 내 다양한 주요 당국의 권고를 토대로 하였습니다. 그러나 권고에도 차이는 존재합니다. 또한 질병의 위험이 증가한 사람의 경우 일반적으로 더 자주 선별검사를 실시합니다. 이 표가 모든 권장 사항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가정에서 가능한 선별검사 방법으로는 정기적으로 체중 재기와 일년에 한 번 피부 변화와 출혈이 발생한 궤양이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등이나 귀 뒤와 같이 확인하기 어려운 부위의 피부는 다른 사람(배우자 등)에게 확인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습니다. 남성이 고환에 덩어리가 있는지 스스로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확실한 증거가 있지는 않지만, 일부 의사는 그래도 이렇게 확인하는 것을 권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