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유형 및 병기별 유방암 치료

유형 및 병기별 유방암 치료

유형

가능한 치료

관상피내 암종(유방의 유관으로 국한된 암)

유방절제술

경우에 따라 유방 보전 수술(종양을 제거하고 유방은 최대한 온전한 상태로 남겨둠)에 방사선 요법 포함 또는 비포함

간혹 호르몬 차단제

전형적인 소엽상피내 암종(유방의 젖 생산 분비선으로 국한된 암)

때때로 암 확인을 위한 수술

암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 관찰 + 정기적 조사, 유방조영술

침습성 암 위험을 줄이기 위한 타목시펜 또는 일부 폐경 후 여성의 경우 라록시펜 또는 방향화 효소 억제제(예, 아나스트로졸, 엑스메스탄 또는 레트로졸)

드물게 침습성 암을 예방하기 위한 양측성 유방절제술(양쪽 유방 제거)

다형성 소엽상피내 암종(전형적인 유형과 달리 침습성 암으로 진행)

비정상 부위와 그 주변의 일부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

경우에 따라 암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타목시펜이나 랄록시펜

1기와 2기(초기 단계) 암

종양이 흉벽에 달라붙어 있거나 유방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큰 일부 여성들에서 유방 보존 수술의 가능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수술 전 화학요법

종양과 일부 주변 조직을 제거하는 유방 보존 수술 후 방사선 요법

유방 재건과 함께 또는 없이 유방절제술

수술 후, 화학요법, 호르몬 차단제, 항-HER2 약물(예, 트라스투주맙) 또는 병용요법, 단 종양 크기가 0.5 ~ 1.0센티미터(약 0.2 ~ 0.4인치)보다 작고 림프절에 암이 없는 일부 폐경 후 여성 제외

3기(국소 진행) 암(염증성 유방암 포함)

수술 전 종양 크기를 줄이기 위한 화학요법 또는 경우에 따라 호르몬 차단제

종양이 완전히 제거될 만큼 충분히 작은 경우 유방 보존 수술 또는 유방절제술

보통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수술 후 때로 화학요법이나 호르몬 차단제, 또는 두 가지 모두

염증성 유방암의 경우, 유방절제술,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4기(전이) 암

암으로 증상이 나타나고 암이 여러 부위에 발생한 경우, 호르몬 차단제, 난소 절제 요법,* 또는 화학요법

암세포에 HER2 수용체가 너무 많은 경우 트라스투주맙, 때때로 페르투주맙과 함께

아래의 경우 방사선 치료:

  • 뇌로 전이

  • 피부에 재발하는 전이

  • 뼈의 한 부분에 재발하고 증상을 야기하는 전이

뼈로 전이된 경우, 뼈 통증과 뼈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정맥 투여 비스포스포네이트(졸레드로네이트 또는 파미드로네이트 등)

유두 파제트병

유방암도 있다면, 유방암 종류에 따른 치료

가끔 일부 주변 정상 조직과 함께 유두만의 외과적 제거(국소 절제)

유방이나 근처 구조에 재발하는 유방암

유방절제술에 때때로 화학요법이나 호르몬 차단제를 선행함

때때로 방사선 요법

화학요법 또는 내분비 요법

악성인 경우 엽상 종양

종양 및 주변 정상 조직 제거(광범위 절제)

때때로 방사선 요법

종양이 큰 경우 또는 비정상 세포 분석이 암을 시사하는 경우 유방절제술

* 난소 절제 요법에는 난소를 제거하거나 약물을 사용하여 난소에 의한 에스트로겐 생성을 억제하는 방안이 포함됩니다. 난소는 아직 생리를 하는 여성에게서 에스트로겐의 주요 출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