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검사† |
---|---|---|
암( 식도암 식도암 식도암은 일반적으로 식도(인후와 위를 연결시키는 관)의 내벽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서 발생합니다. 담배 및 알코올 사용, 인체 유두종바이러스 감염, 특정 식도 장애는 특정 유형의 식도암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삼키기 어려움... 더 읽기 | 만성의 막연한 불편 식도암으로 인한 삼킴곤란 또는 위암으로 인한 조기 포만감(나중에 발생) 체중 감소 |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내시경이라 부르는 유연한 내시경 튜브를 사용해 식도, 위 및 십이지장 검사) 복부의 CT |
설사, 배부품 또는 기름진 대변과 같은 배변 습관의 변화 다른 원인이 없는 철 결핍 빈혈 | 혈액 검사 소장 조직의 내시경 생검 | |
관상 허혈(관상 동맥으로 흐르는 부적절한 혈류) | 힘을 썼을 때 증상이 생긴 환자의 경우 심장 장애에 대한 위험 요인(고혈압, 당뇨법 및/또는 고콜레스테롤 수치 등) | 심전도 검사 심전도법 심전도 검사(ECG)는 심장의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기록하는 빠르고, 간단하고, 통증이 없는 검사입니다. 이 기록인 심전도(ECG로도 알려짐)는 다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심박동을 촉발하는 심장의 부분(동방 결절이라 불리는 박동조율기) 심장의... 더 읽기 혈액 검사 종종 스트레스 검사 실시 |
약물(비스포스포네이트, 에리스로마이신 및 기타 마크롤라이드 항생제, 에스트로겐, 철분,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칼륨 등) | 소화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한 사람의 경우 증상이 약물 복용 직후 발생 | 의사의 검진만 |
종종 액체 및 고체 삼킴 곤란 | ||
속쓰림 및/또는 종종 산의 역류 또는 구강으로 나온 위 내용물 종종 누워서 발생하는 증상 제산제로 완화 | 의사의 검진 종종 산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로 치료 실시 종종 상부 소화관의 내시경검사 실시 때때로 식도의 pH 검사(pH는 산도의 척도임) | |
식사 전 발생하고 식사 또는 제산제나 히스타민-2(H2) 차단제 또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를 복용해 완화되는 작열통 또는 선통 밤 중에 일어나는 환자의 경우 | 의사의 검진 종종 상부 소화관의 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는 신축성이 있는 관찰 튜브(내시경)를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검진 이외에, 의사들은 내시경검사를 사용하여 생검을 실시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은 신축성이 있고 광원 및 소형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 의사가 소화관 내막을... 더 읽기 실시 때때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검사 | |
위 배출 불량(위마비)-보통 당뇨병, 결합 조직 장애 및/또는 신경학적 장애 등의 기타 장애로 인해 발생 | 메스꺼움, 복통 및 종종 구토 발생 조기 포만감 종종 원인적 장애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환자의 경우 |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진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특징들은 원인들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 ||
† 항상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을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