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검사† |
---|---|---|
저빈도의 딱딱하고 자갈돌 같은 대변 때때로 불편한 복부 변비식을 섭취하는 소아에서 나타남(예: 과도한 우유와 유제품, 약간의 과일과 야채) | 보통 의사의 검진만 때때로 복부 X-레이 시간, 빈도, 대변의 양을 노트에 기록(배변 일기) | |
발달 지연 | 주간 실금 없음 남아와 숙면을 취하는 사람에게서 더 흔함 침대에 오줌을 싼 경험이 있는 가족 구성원의 가능성 | 의사의 검진만 |
증가된 소변 양은 다음과 같은 원인들 때문에 나타남
| 장애에 따라 다름 | 당뇨병에는 포도당(설탕) 소변 검사 및 케톤 및/또는 혈액 검사‡ 요붕증 또는 낫적혈구병에는 혈액 검사 |
코를 골며 자는 동안 숨이 멈추면서 큰 콧소리를 내는 소아에게서 종종 나타남 주간 수면 과다 편도 비대 | 수면 다원 검사 | |
명백한 척추 결손, 허리 아래의 보조개나 털 다발, 쇠약, 또는 다리와 발 감각의 저하 | 허리 아래 부분의 X-레이 때때로 척추 MRI | |
스트레스§ | 학교 문제, 사회적 고립이나 문제, 가족 스트레스(부모의 이혼 이혼과 아동 별거와 이혼, 그리고 그에 이르게 되는 사건들은 소아에게 필요한 안정감과 예측 가능성을 훼손합니다. 직계 가족의 죽음을 제외하고, 이혼은 가장 큰 스트레스를 주며 가족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사건입니다. 그들이 알고 있던 세상이 끝났기 때문에, 소아는... 더 읽기 이나 별거와 같은) | 의사의 검진만 시간, 빈도, 소변의 양을 노트에 기록(배변 일기) |
소변 시 통증, 혈뇨, 잦은 소변 욕구, 급하게 소변을 봐야 한다는 느낌 열 복통 | 요검사 및 요배양 소변 배양 및 요검사 결과가 양성이고, 특히 신장 감염 능성이 있는 초음파촬영 및 배뇨 방광요도조영상(배뇨 전, 중, 후 촬영하는 X-레이)이 있을 경우 |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진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 항상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을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 ||
‡ 일반적으로 당뇨는 혈당(포도당) 수치가 포도당이 소변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높아지지 않는 한 실금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 ||
§ 스트레스는 주로 실금이 갑자기 나타날 때의 원인입니다. | ||
MRI = 자기공명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