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검사 |
---|---|---|
급성 설사(2주 미만 지속) | ||
항생제 사용 | 최근 항생제 사용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도 흔함 | 의사의 검진 대변의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의 존재 여부 검사 |
흔히 구토 증세가 나타나기도 함 영아 및 저연령 소아에게 특히 흔하게 나타나는 탈수 열 및 복통이 일어나기도 함 드물게 나타나는 혈변 감염된 사람과 최근 접촉(어린이집, 캠프 또는 크루즈에 있는 사람), 동물을 만질 수 있는 동물원에서 동물과 최근 접촉(대장균이 감염될 수 있는 장소) 또는 파충류와의 최근 접촉(살모넬라 박테리아에 감염될 수 있음) 또는 최근 설익은 음식 섭취, 최근 오염된 음식이나 오염된 물 섭취 | 의사의 검진 대변 검사를 하는 경우도 있음 | |
음식을 섭취한 후 몇 분에서 몇 시간 이내에 두드러기, 입술의 부종 및 호흡 곤란을 일으킴 구토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이미 확인된 음식 알레르기인 경우도 흔함 | 의사의 검진 | |
복통, 구토 및 몇 일 동안 혈액성 설사 이후 피부가 창백해지고 소변이 감소함 피부의 출혈(매우 작은 자주색의 점 또는 반점이 보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음 | 혈액 검사 대변 검진 및 검사 | |
만성 설사(2주 이상 지속) | ||
구토 영양 부족 체중 감소, 성장 부진 또는 둘 다 발생 혈변 | 대변 검사 유아식이 변경되면 완화되는 증상 내시경검사,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둘 다 가능 | |
과일 주스(특히 사과, 배 및 자두)의 과도한 섭취 | 과일 주스를 하루에 4~8온스 이상 섭취함 흔히 설사 이외의 별다른 증상 없음 | 의사의 검진 과일 주스의 섭취량을 줄인 후 설사가 해결됨 |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장질환(IBD) 개요 염증성 장질환의 경우 장(창자)에는 염증이 생겨서 종종 재발성 복통 및 설사를 일으킵니다. 염증성 장질환(IBD)의 주요 종류 2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크론병 궤양성 결장염 이러한 두 개 질환은 유사한 점이 많으며 서로 구별하기가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더 읽기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혈변, 경련성 복통, 체중 감소, 식욕 부진 및 성장 부진 관절염, 발진, 입병 및 직장이 찢어짐 | 대장내시경검사 바륨을 직장에 삽입(바륨 관장)한 후 CT 또는 X-레이 촬영 |
배부품, 가스 배출(고창) 및 폭발성 설사 우유 및 유제품 섭취 후 설사 | 의사의 검진 수소(소화되지 않는 탄수화물을 나타냄) 검출을 위해 유방 검사 흡수되지 않는 탄수화물을 검사하기 위한 대변 검사 및 분석 | |
흡수장애 질환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름기가 많아 보이며 밝은 색의 부드럽고 덩어리가 졌으며 특이하고 지독한 냄새가 나는 대변 배부품 및 고창 체중 증가 부진 낭성 섬유증으로 인한 잦은 기도 감염 장병성 말단피부염으로 인한 발진 및 구강 내 경련 | 대변 검진 및 검사 복강병이 의심되는 경우, 혈액 검사를 하여 글루텐에 대한 항체(백아 내 단백질) 및 소장의 생검을 측정 낭성 섬유증이 의심되는 경우, 땀 검사와 유전 검사를 수행할 수 있음 장병성 말단피부염이 의심되는 경우, 아연 결핍에 대한 혈액 검사 수행 |
면역체계 약화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잦은 감염 체중 감소 또는 체중 증가 부진 이미 확인된 HIV 감염 | HIV를 위한 혈액 검사 면역 체계를 평가하기 위한 일반 혈액 검사 및 다른 혈액 검사 |
* 특징에는 증상과 더불어 의사의 검진 결과도 포함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 또한 박테리아, 기생충 또는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은 만성 설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HIV =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