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 특징† | 검사‡,§ |
---|---|---|
소화관 장애 | ||
예측한 만큼 성장하지 않은 소아(성장 부진) 복부 부품과 종종 설사 또는 연한 색의 부피가 크고 악취가 나며 유질성을 띨 수 있는 대변 환자가 밀 제품(글루텐 함유)이 들어간 음식을 먹을 때 악화되는 증상 | 혈액 검사로 복강병이 있는 환자가 글루텐 함유 음식을 섭취할 때 생성된 항체의 수치 측정 상부 소장의 생검 | |
복부의 상부 오른편에서 경련성 통증 재발 | ||
보통 불편이 없음, 그러나 직장이 부분적으로 폐쇄되면 경련성 불편이 생길 수 있음 종종 대변 내 혈액(의사가 검사 중 혈액을 보거나 발견될 수 있음)이 있는 경우도 있음 체중 감소 | 대장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 내시경검사는 신축성이 있는 관찰 튜브(내시경)를 이용하여 내부 구조를 검사하는 것입니다. 또한 내시경검사를 통해 의사가 튜브를 통해 기구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내시경을 입으로 통과시켜 식도(식도경검사)... 더 읽기 조영제를 마신 후 결장의 CT(CT 대장조영술)와 같은 영상 검사 | |
통과하기 어려운 단단하고 드문 배변 활동 배변 후 줄어드는 하부 복부의 경련성 통증 종종 배변 중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 의사의 검사만, 전체적인 식사 기록 포함 | |
열, 식욕 부진, 체중 감량, 설사를 동반한 심한 통증의 재발 | 대장내시경검사 | |
위식도 역류병 위식도 역류병(GERD) 위식도 역류병에서는 위산과 담즙을 비롯한 위 내용물이 위에서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과 흉부 아랫부분의 통증을 초래합니다. 역류는 일반적으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 모양의 근육(하부 식도 괄약근이라 부름)이 제대로 기능하지... 더 읽기 | 속쓰림(복부 상단에서 시작해 인후까지 이어지는 작열통, 종종 구강 내 산성 맛이 남) 때로는 흉통 종종 기침, 목쉼 또는 둘 다 발생 종종 누워서 악화되는 증상도 있음 제산제로 완화 | 빈번하게 의사의 검사 및 산 생산을 억제하는 약물로 치료(증상이 완화될 경우 원인은 아마 위식도 역류병임)하는 경우도 있음 종종 상부 소화관의 내시경검사(유연한 내시경 튜브를 사용해 식도 및 위 검사), 구강으로 바륨을 삽입한 후 상부 소화관의 X-레이(바륨 삼킴), 또는 pH 탐침 진단 위식도 역류병에서는 위산과 담즙을 비롯한 위 내용물이 위에서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과 흉부 아랫부분의 통증을 초래합니다. 역류는 일반적으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리 모양의 근육(하부 식도 괄약근이라 부름)이 제대로 기능하지... 더 읽기 |
복부 상부 오른편의 불편 전신이 아픈 느낌(병감) 식욕 부진 황달(흔치 않음) | 간을 평가하고 바이러스, 자가면역 또는 대사성 간염의 대사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혈액 검사 | |
배부품, 경련, 가스 배출(고창), 유제품 섭취 후 설사 | 종종 숨 검사로 소화되지 않은 유당을 나타내는 수소 발견 젖당을 포함하는 음식이 제외된 식사(제외 식이)로 해당 음식이 증상을 일으키는지 여부 판단 | |
상부 복부의 지속적인 통증, 종종 등으로 전이 체중 감소 종종 황달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 CT MRI/MRCP | |
복부의 상부 중앙에서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 대변의 지방 및 설사가 있는 경우 보통 급성 췌장염에 걸렸던 것으로 알려진 환자에게 발생 | 혈액 검사로 췌장에서 생성한 효소 수치 측정 CT 또는 MRI/MRCP 등 영상 검사 대변 검사(만성 췌장염의 경우) | |
최근 개발 도상국 방문, 개울이나 호숫물 섭취 또는 감염된 환자와의 접촉 경련, 고창 및 설사 | 대변 검사로 기생충 또는 기생충 알 확인 | |
음식을 먹거나 제산제를 복용해 완화된 위 통증 밤 중에 일어나는 환자의 경우 NSAID 사용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 | 헬리코박터(H.) 파일로리균(소화성 궤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에 대한 내시경검사 및 생검 때로는 H. 파일로리 호흡 검사 또는 대변 검사 | |
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의 장(유착) 주변에 발달한 반흔 조직 | 메스꺼움 및 종종 구토를 동반하는 경련성 불편 | 상부 GI 시리즈(액체 바륨을 삼킨 후 위 및 소장에 대해 촬영하는 X-레이) 및 기타 소장 X-레이 CT 스캔 |
소화불량 또는 경증 통증 빈번하게 대변에 적은 양의 혈액(의사가 검사 중에만 감지 가능)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노인에게 발생 | 식도 및 위의 내시경검사 | |
여러 횟수의 혈액성 설사가 동반되는 경련성 통증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발생 | 구불창자내시경검사 또는 대장내시경검사 직장 또는 결장 생검 | |
신장 및 요로 질환 | ||
빈번한 요로 감염 소아의 요로 감염(UTI) 요로 감염은 방광의 박테리아 감염( 방광염), 신장의 박테리아 감염( 신우신염) 또는 둘 다를 말합니다. 요로 감염은 박테리아로 인해 발생합니다. 요로 감염에 걸린 영아 및 고연령 소아는 간혹 비뇨기계의 다양한 구조 이상이 있어 요로 감염에 더 걸리기... 더 읽기 일반적으로 소아에게 발생 | 정맥 요로조영 또는 CT 초음파 검사 | |
일시적인 측면(옆구리) 통증, 빈번하게 결석이 있다고 알려진 환자가 겪음 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어두운 색 또는 혈액이 함께 나오는 소변 | 소변검사 CT 또는 정맥 요로조영 | |
생식계 장애(여성) | ||
월경 주기 중 또는 이전에 주로 일어나는 불편 | 복강경검사 | |
하부 복부의 막연한 불편 | 골반 초음파 검사 | |
배부품 종종 의사가 검사 중 감지한 골반의 종괴 | 골반 초음파 검사 | |
전신성 질환 | ||
심한 복통 및 구토 발작의 재발 종종 근쇠약, 발작 및 정신적 교란(자극 또는 초조 등)이 있는 경우 포르피린증의 일부 경우, 일광에 노출되었을 때 피부에 물집 생김 | 소변 및 혈액 검사로 증상이 생겼을 때 생성된 물질(포르피린) 확인 | |
지속적인 메스꺼움, 구토 및 소화불량 보통 오랫동안 대마초를 사용한 후 발생합니다. | 의사의 검진만 소변 약물 검사 때로는 혈액 검사 | |
장애가 있는 가족 구성원 48시간~72시간 지속되고 종종 열을 동반하는 복통의 경우 아동 또는 사춘기 동안 시작 | 유전자 검사 | |
해산물 등의 특정 음식을 먹은 후에만 발달하는 증상 | 제외 식이 | |
어깨, 다리, 엉덩이 및 발 상단의 큰 반점(자반) 또는 자주색 발진의 작은 점(점상출혈) 아픔, 압통, 부은 관절 메스꺼움, 구토 및 설사 의사가 검사 중 발견한 대변 내 혈액 | 영향 받은 피부의 생검 | |
경련이 있는 복통 주의집중기간, 혼돈 및 변화된 행동 감소 등의 정신 변화 식욕 부진, 구토 및 변비 관절통 보통 납에 노출된 작업자에게만 발생 납 성분의 페인트칠(1978년에 금지)을 한 30년 이상 된 집에서 사는 저연령 소아에게 빈번하게 발생 | 혈액 검사로 납 수치를 측정 | |
하루 이상 지속되는 중증의 복통이 있는 경우 복부가 아닌 등, 흉부, 팔 및/또는 다리에서 재발성 통증 일반적으로 장애가 있는 가족 구성원이 있는 흑인 소아의 경우 | 혈액 검사로 겸상 적혈구 및 낫적혈구병을 특징짓는 비정상 헤모글로빈 확인 | |
* 신체 원인은 만성 복통 사례 중 약 10%에 불과합니다. 기능적 복통이 대부분입니다. 이 표는 만성 복통의 모든 신체적 원인을 포함하지는 않습니다. |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사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 항상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을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 ||
§ 만성 복통이 있는 대다수의 환자의 경우, 의사는 일반적으로 전체 혈구수, 혈액 검사 등 기본 혈액 및 소변 검사를 실시해 간과 췌장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평가하고 요검사를 실시합니다. 기타 검사는 이러한 검사 및 시험 결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MRCP = 자기공명 담췌관조영술, NSAID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