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진단 접근법† |
---|---|---|
눈꺼풀 장애 | ||
눈에만 영향을 주는 알레르기 반응 | 가렵지만 통증 없음 창백하며 부푼 눈꺼풀(들)과 때때로 창백하며 부푼 결막(눈꺼풀을 감싸서 눈의 흰자위를 덮는 막) 때때로 이전에 증상이 발현된 적이 있거나 알레르기원에 노출된 적이 있거나 또는 두 가지 모두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발생 한쪽 또는 양쪽 눈꺼풀 모두에 영향 | 의사의 검진만 |
속눈썹에 있는 노란색 딱지 눈의 가려움, 작열감, 충혈, 궤양 또는 이들의 조합 때때로 지루 피부염(두피와 얼굴의 기름기가 많은 인설에 의한 특징을 가진 피부의 염증)을 동반 대개 양쪽 눈꺼풀 모두에 영향 | 의사의 검진만 | |
충혈된 피부, 개방성 동통, 상당한 통증이 있을 때 체액이 들어있는 수포의 군집 대개 한쪽 눈에만 영향(소아의 경우 양쪽 눈 모두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의사의 검진만 | |
한쪽 눈꺼풀에만 있는 충혈 또는 통증 부위 최종적으로 눈꺼풀 가장자리에서 떨어져 둥글고 통증이 없는 부기로 발전 | 의사의 검진만 | |
결막염, 감염성 감염성 결막염 감염성 결막염은 대개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결막의 염증입니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결막을 감염시킬 수 있습니다. 충혈, 눈물 흘림 또는 분비물은 일반적인 증상이고, 일부 사람들은 빛에 대한 과민성이 있습니다. 바람직한 위생은 다른... 더 읽기 | 눈 흰자위의 충혈, 분비물 및 때때로 환자가 잠에서 깰 때 속눈썹의 딱지 한쪽 또는 양쪽 눈 모두에 영향 | 의사의 검진만 |
충혈된 피부, 개방성 동통, 상당한 통증이 있을 때 체액이 들어있는 수포의 군집 보통 한쪽 눈에만 영향을 미치고 인근의 피부 발진 동반 | 의사의 검진만 | |
한쪽 눈꺼풀에 영향을 주는 충혈 또는 통증 최종적으로 눈꺼풀 가장자리의 부기, 때로는 작게 융기되어 고름이 들어있는 혹 | 의사의 검진만 | |
벌레 물림 | 가려움, 충혈, 때로는 작게 융기된 혹 | 의사의 검진만 |
안와 내부와 주변의 장애 | ||
두통, 돌출 눈, 복시를 동반하는 약한 눈 근육, 처진 눈꺼풀, 시력 상실, 열 대개 한쪽 눈꺼풀만 먼저 영향을 받은 후 다른 눈꺼풀도 영향 부비동염(머리를 움직일 때 악화되는 눈 또는 얼굴 뒤쪽의 통증과 코 분비물 및 때로는 출혈 동반) 또는 안와/안와 주위 봉와직염 등의 얼굴 감염의 증상 | 뇌 및 안와에 대해 CT 또는 MRI를 즉시 실시 | |
눈의 돌출, 눈 충혈, 눈 내부의 심부 통증 충혈, 눈꺼풀이 부어오름 때때로 복시, 특정 방향으로 눈을 움직일 수 없음, 안구 운동 시 통증 또는 시력 상실 대개 한쪽 눈에만 영향 열 때때로 부비동염 증상이 먼저 발생 | 안와의 CT 또는 MRI | |
눈 주위 부기와 충혈이 있지만 눈의 돌출 없음 때로는 통증(대개 눈 부위)과 열 대개 한쪽 눈에만 영향 정상 시력 및 안구 운동 때때로 눈 부근의 피부 감염이 앞서 나타남 | 의사의 검진 때때로 안와의 CT 또는 MRI | |
신체 전체에 영향을 주는 장애§ | ||
알레르기 반응 | 가려움 때때로 다른 부위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증상(두드러기, 쌕쌕거림, 콧물 등) 때때로 이전에 알레르기 경험이 있거나 알레르기에 노출된 적이 있거나 알레르기를 갖는 경향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는 사람 대개 양쪽 눈 모두에 영향 | 의사의 검진만 |
신체 전체에 부기를 유발하는 장애(만성 신장 질환, 심부전, 간부전, 임산부의 자간전증 등) | 양쪽 눈꺼풀 및 가끔 이마의 부기 가려움, 통증, 충혈 또는 눈에 영향을 주는 다른 증상 없음 대개 발의 부기 | 의심이 가는 장애에 따라 심장, 간 또는 신장 질환 검사 |
얼굴이 붓지만 통증 없음 건조한 비늘 피부 및 굵은 머리카락 추위를 견딜 수 없음 | 갑상선 기능을 평가하는 혈액 검사 | |
돌출 눈, 복시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음 빠른 심박수, 불안, 체중 감량 | 갑상선 기능을 평가하는 혈액 검사 돌출이 중증인 경우, 안와의 CT 또는 MRI |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진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항상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을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 이러한 장애는 희귀합니다. § 이러한 장애는 양쪽 눈꺼풀에 부기를 유발하지만 충혈은 유발하지 않습니다. CT = 컴퓨터 단층촬영; MRI = 자기공명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