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검사 |
---|---|---|
부신 장애 | ||
부신 과형성(비정상적으로 많은 남성 호르몬을 생성하는 부신 비대 증상) | 낮은 목소리, 대머리, 음핵 비대, 근육 크기 증가, 월경 주기가 불규칙하거나 결여되는 증상, 여드름과 같은 남성적 특징 발생(남성화) 부신 과형성이 출생 시 있는 경우 외부 생식 기관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불명확함(모호함) |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이나 소변 검사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덱사메타손 경구 복용 수 시간 후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 수행) |
부신성 종양(보통 암 위험) | 부신 종양이 과도한 안드로겐(테스토스테론 등)을 생성하거나 쿠싱 증후군(과도한 코르티솔을 만드는 부신 종양[아래 참조])이 있다면 남성적 특성의 발달 | MRI 또는 CT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및 소변 검사 |
몸통 전반에 걸친 과다 지방, 어깨 사이의 지방층(들소혹), 가는 팔과 다리, 복부의 보라색 튼 살, 멍이 쉽게 듦, 크고 둥근 얼굴(달덩이 얼굴), 고혈압 고혈압 고혈압은 동맥의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고혈압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가끔 근본적인 신장 또는 호르몬의 장애로 인해 혈압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비만, 주로 앉아서 지내는 생활양식, 스트레스, 흡연, 과도한 양의 알코올... 더 읽기 | 코르티솔 수준(쿠싱 증후군일 경우 높을 수 있음)을 측정하기 위한 소변 검사와 보통 혈액 검사 보통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 |
질환이 없는 경우 | ||
가족성 남성형 다모증 | 가족 구성원에게 남성형 다모증이 있음 다른 증상 없음(월경 주기는 정상이며 다른 남성적 특성이 나타나지 않음) | 의사의 검진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정상) |
난소 장애 | ||
사춘기 이후 남성형 다모증이 시작됨 남성적 특성 발생, 비만, 불임, 불규칙한 월경, 여드름, 두피 탈모,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 감소, 겨드랑이와 목 뒤쪽, 피부주름 부위의 피부색이 짙어지고 피부가 두꺼워지는 증상(흑색 극세포증)이 나타남 | 의사의 검진 테스토스테론, 황체형성 호르몬(LH), 난포 자극 호르몬(FSH)과 같은 호르몬 수치 측정을 위한 혈액 검사 대개 초음파 검사 | |
종양 | 일부 경우에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런 증상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초음파 촬영 CT 또는 MRI 실시 |
뇌하수체 장애 | ||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뇌하수체샘종(비암성 종양) |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여성의 모유 생산( 유루증 프롤락틴샘종 프롤락틴샘종은 뇌하수체의 특수 세포(프로락틴생산세포)로 구성된 비암성 종양입니다. 프롤락틴샘종의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유루증으로, 이는 임신 중과 임신 후가 아닌 남성 또는 여성의 모유 생산입니다. 프롤락틴샘종은 뇌하수체에 의한 프롤락틴 호르몬의 과잉생산... 더 읽기 ) 월경 없음 일부 경우 시력 문제 | 프로락틴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 뇌의 MRI |
쿠싱 질환을 유발하는 뇌하수체 장애(뇌하수체 종양 등) | 코르티솔 수준(높을 수 있음)을 측정하기 위한 혈액 검사와 일부 경우 소변 검사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뇌의 MRI | |
약물 | ||
안드로겐성 약물:
| 남성적 특성의 발달 합성대사 스테로이드의 사용(사용자가 부인하는 경우가 있음) | 의사의 검진 |
* 특징에는 증상과 더불어 의사의 검진 결과도 포함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MRI = 자기공명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