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 일부 부작용 | 설명 |
---|---|---|
아미노살리실산계 | ||
| 흔한 증상: 메스꺼움, 두통, 어지러움, 피로, 열, 발진 그리고 남성에게 있어서는 회복 가능한 불임 흔하지 않은 증상: 간 염증(간염), 췌장 염증(췌장염), 또는 폐 염증(폐렴) 및 용혈성 빈혈 | 복통, 어지러움 및 피로는 용량과 관련 있습니다. 간염 및 췌장염은 용량과 관련 없습니다. |
| 흔한 증상: 열 및 발진 흔하지 않은 증상: 췌장염, 심낭 염증(심낭염) 및 폐렴 올살라진의 경우: 장액성 설사 | 설파살라진에 의해 나타나는 대부분의 부작용은 다른 아미노살리실산계 중 어느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그만큼 자주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
프레드니손 | 당뇨병, 고혈압, 백내장, 골다공증(골밀도 감소), 피부 얇아짐, 정신 장애, 급성 정신병, 두드러진 기분 변화, 감염, 여드름, 과다 체모(다모증), 불규칙한 월경, 위염, 소화성 궤양 질환 | 당뇨병 및 고혈압은 다른 위험 요소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서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부데소니드 | 당뇨병, 고혈압, 백내장, 골다공증 | 부데소나이드는 프레드니손과 동일한 부작용을 일으키지만 정도가 더 낮습니다. |
하이드로코르티손(관장제 또는 발포제) | 약물 중 일부는 신체에 의해 흡수되지만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프레드니손 등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는 달리) 몇몇 사람에게는 중증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 하이드로코르티손 관장제 또는 발포제는 직장이나 직장 옆의 대장에 영향을 미치는 궤양성 결장염에 주로 사용됩니다. |
면역조절제 | ||
|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전반적으로 아픈 느낌, 감염, 암, 알레르기 반응, 췌장염, 낮은 백혈구 수, 골수 억제 및 간 기능이상 | 일반적으로 용량에 따른 부작용으로는 골수 억제 및 간 기능이상 등이 있습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혈액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사이클로스포린 | 고혈압, 메스꺼움, 구토, 설사, 신부전증, 떨림, 감염, 발작, 신경병증 및 림프종(림프계 암) 발병 |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타크로리무스 | 사이클로스포린과 유사 | 이 약품은 사이클로스포린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부작용도 상당히 유사합니다. |
생물학적 제제 및 관련 제제 | ||
인플릭시맙 | 주입 반응, 감염, 암, 복통, 간 기능이상 및 낮은 백혈구 수 | 주입 반응은 주입 동안 발생하는 즉각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부작용입니다(예를 들어, 열, 오한, 메스꺼움, 두통, 가려움, 발진, 두드러기, 혈압 감소, 또는 호흡곤란). 환자는 치료 시작 전에 결핵 및 B형 간염에 대한 선별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아달리무맙 | 주사 부위의 통증 또는 가려움(과민 반응), 두통, 감염 및 암 | 부작용은 아달리무맙이 피부 아래로(피하) 투여되고 주입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인플릭시맙과 유사합니다. 주사 부위에서 발생하는 기타 과민 반응은 발진 및 두드러기 등이 있습니다. 보다 중증의 과민 반응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골리무맙 | 피하로 투여할 때, 주사 부위의 통증 또는 가려움(과민 반응), 감염 및 암 | 부작용은 인플릭시맙과 유사합니다. 피하로 투여할 때, 이 약물은 주입 반응을 유발하지 않습니다. 주사 부위에서 발생하는 기타 과민 반응은 발진 및 두드러기 등이 있습니다. 보다 중증의 과민 반응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오자니모드 | 상기도 감염, 두통, 간 염증 | 모노아민 옥시다제 억제제(MAOI—셀레길린, 페넬진, 리네졸리드 등)를 사용하는 사람은 이 약물을 복용해서는 안 됩니다. |
토파시티닙 | 설사,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두통, 대상포진(띠헤르페스) 감염, 감기 유사 증상, 발진, 상기도 감염, 폐색전증 | 환자는 치료 시작 전에 결핵에 대한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
베돌리주맙 | 감염, 과민 반응, 감기 | |
우스테키누맙 | 주사 부위 반응(통증, 붉어짐, 부기), 감기 같은 증상, 오한, 두통, 피로, 설사, 허리 통증, 통증성 배뇨, 또는 발진이나 가려움 | 이 약물은 암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피부암의 일종인 편평 세포 암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가 부어오르게 하는 장애(가역적 후백질뇌병증 증후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