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염 개요 참고.)
울체성 피부염은 하지 정맥이 손상되어 혈액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아랫다리의 만성 정맥 기능부전이 있는 사람에게 발생합니다. 부기(부종)이 나타나고, 드물게는 정맥류(확장되고 꼬인 정맥)가 발생하여 마지막에 울체성 피부염이 나타납니다. 울체성 피부염은 대개 발목에 발생하지만 위쪽으로 무릎까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증상
진단
-
피부의 외형과 만성 정맥 기능부전 여부
-
가능하다면 초음파촬영
의사들은 이 피부염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피부 변화와 만성 정맥 기능부전이 있는 사람에게 울체성 피부염 진단을 내리지만, 보다 광범위한 평가와 영상 검사(초음파촬영)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
만성 정맥 기능부전의 치료
피부염 치료
최근에 시작된 피부염의 경우 수돗물이나 아세트산 알루미늄(버로우 용액)에 적신 거즈 패드 등의 진정을 돕는 압박이 피부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피부를 깨끗하게 함으로써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열이 오르거나, 붉어짐, 진물 또는 작은 궤양이 나타나는 질환 악화 시, 수성콜로이드 드레싱과 같이 흡수력이 더 좋은 드레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크림 또는 연고도 도움이 되며 산화아연 페이스트와 함께 얇게 도포하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치유를 방해하므로 궤양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궤양 치료
궤양이 크거나 광범위하면, 수분을 흡수하는 특수 수성콜로이드나 수화젤 드레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피부가 이미 감염되었을 경우에만 사용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매우 넓은 궤양을 덮기 위해 신체의 다른 부분의 피부를 이식편으로 이용할 수도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아연이 함유된 젤라틴 페이스트를 잔뜩 묻힌 신축성 있는 직물로 된 랩인 우나 페이스트 장화(Unna paste boot)를 필요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이 랩은 발목과 하지에 적용되어 단단하게 굳어지며 깁스와 유사하지만, 그보다는 부드럽습니다. 이 부츠는 부기를 제한하고 피부를 자극에서 보호하며 페이스트는 피부 치료를 돕습니다. 처음에 이 부츠는 2~3일에 한 번씩 교환되지만, 나중에는 1주일에 한 번씩 교환해도 됩니다. 궤양이 치료된 후에는 환자가 아침에 일어나기 전에 탄력 붕대를 감아 두어야 합니다. 사용된 드레싱에 관계없이 부기의 감소(보통 압박을 통해 감소됨)는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울체성 피부염의 경우 피부가 쉽게 자극을 받습니다. 항생제 크림, 응급조치(마취제) 크림, 알코올, 위치 하젤, 라놀린, 또는 기타 화학물질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