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심장 박동 개요 이상 심장 박동 개요 이상 심장 박동(부정맥)이라 함은 일련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심박동 또는 이상 전기 통로를 통해 심장에 전도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심장 질환은 이상 심장박동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간혹 사람들은 이상 심장... 더 읽기 및 심장 차단 개요 심장 차단 개요 심장 차단은 전류가 심방과 심실 사이에 모두 위치한 방실 결절, 히스속, 또는 양측 방실 속지를 포함한 심장의 전도계를 통과하면서 전류의 전도를 지연하는 경우입니다. 몇몇 유형의 심장 차단은 아무 증상도 유발하지 않지만 다른 유형은 피로, 어지러움, 어찔어찔함, 그리고/또는 실신을 유발합니다. 심장 차단을 발견하기 위해서 심전도 검사를 사용합니다... 더 읽기 또한 참조.)
심장 근육의 수축을 조절하는 전류는 동방 결절에서 시작되어 심장의 상부 방(심방)을 통과한 후 방실 결절(AV 결절)이라는 일종의 전기 배선함을 통해 심장의 하부 방(심실)으로 이동합니다. AV 결절은 심실 근처의 심방 사이 벽 하부에 위치하며 심방과 심실 사이의 유일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합니다. 히스속이란 방실 결절로부터의 심장의 하부 방(심실)으로 전기 자극을 전도하는 섬유 다발입니다. 히스속은 두 개의 속지로 나누어 집니다. 좌측속지는 좌심실로 자극을 전도하고, 우측속지는 우심실로 자극을 전도합니다. 전도는 좌측 혹은 우측속지에서 차단될 수 있습니다.
좌측속지는 전섬유속 및 후섬유속이라 부르는 두 분지로 구분됩니다. 이러한 섬유속 중 하나를 통해 전도가 차단될 때, 이러한 차단을 반차단 또는 섬유속 차단이라 부릅니다.
심장의 전기적 경로 추적
동방(동) 결절(1)은 우심방과 좌심방(2)을 따라 흐르며 해당 방들을 수축하는 전기 신호를 일으킵니다. 전기 자극이 방실 결절(3)에 도달하면, 해당 충격이 약간 지연됩니다. 그런 다음 전기 충격은 히스속(bundle of His)으로 내려가고(4), 우심실의 경우에는 우측속지(right bundle branch)로(5), 좌심실의 경우 좌측속지(left bundle branch)로 나뉩니다(5). 그런 다음 전기 자극이 심실을 통해 퍼지면서 수축을 일으킵니다. ![]() |
각차단은 보통 아무 증상도 유발하지 않습니다. 우측 각차단은 자체로는 심각하지 않으며 보기에 건강한 이들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가령, 이전의 심장마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심장마비;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의 급성 폐색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폐색은 폐색의 위치와 양에 따라 불안정 협심증이나 심장마비(심근경색증)를 유발합니다. 심장마비는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한 심장 조직의 사멸입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경험하는 사람은 보통은 흉부의 압박 또는 통증과 숨가쁨 및/또는 피로를 느낍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이... 더 읽기 로 인한 심각한 심장 손상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좌측 각차단이 더욱 심각한 경우에 속합니다. 노년층에서는 보통 죽상경화증 죽상경화증 죽상경화증은 지방물질의 침전물 조각(죽종 또는 죽상 경화성판)이 중간 크기 또는 큰 동맥의 벽에 생겨서 혈액의 흐름을 감소시키거나 막는 상태입니다. 죽상경화증은 동맥 벽에 반복된 손상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손상은 높은 혈압, 흡연, 당뇨병, 혈액... 더 읽기 으로 인한 관상동맥병 관상동맥병(CAD)의 개요 관상동맥병은 심장 근육으로의 혈액 공급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히는 증상입니다. 심장 근육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의 꾸준한 공급이 필요합니다. 심장에서 나온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관상동맥이 이러한 혈액을 전달합니다. 이 동맥 한 개 이상을 좁히는... 더 읽기
을 의미합니다.
각차단은 심전도 검사 심전도법 심전도 검사(ECG)는 심장의 전기 신호를 증폭하여 기록하는 빠르고, 간단하고, 통증이 없는 검사입니다. 이 기록인 심전도(ECG로도 알려짐)는 다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각 심박동을 촉발하는 심장의 부분(동방 결절이라 불리는 박동조율기) 심장의 신경 전도 경로 심장의 속도 및 박동 경우에 따라 ECG는 심장이 (일반적으로 고혈압으로... 더 읽기 (ECG)에 의해 발견될 수 있습니다. 각 차단 유형별로 특징적인 양상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없습니다.
추가 정보
다음과 같은 영문 자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본 매뉴얼은 이 참고 자료의 내용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미국 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부정맥: 부정맥의 위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와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