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 응급상황 개요 참조)
급성 장간막 허혈의 원인은 여러 가지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
동맥 색전증은 심장 또는 대동맥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던 지점으로부터 이동하여 좁은 동맥(이 경우에는 장의 동맥)에서 머무르게 되는 피떡 또는 죽상경화판 물질(동맥에 축적된 콜레스테롤 및 기타 지방 물질)입니다.
동맥 혈전은 장의 동맥 또는 정맥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혈류를 차단하는 혈전입니다.
혈류는 완벽하게 차단되는 것은 아니지만 낮은 심박출량(심부전 또는 쇼크에서처럼) 또는 특정 약물(예를 들어, 코카인)에 의해 혈관이 좁아지기 때문에 혈류가 너무 낮아지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발생 위험이 가장 높습니다.
6시간 넘게 혈류가 폐색되면 영향을 받은 장 부위가 괴사하여 장내 세균이 사람의 소화계 등과 같은 기관에 침입할 수 있게 됩니다. 장 괴사가 발생하면 쇼크, 장기 부전 및 사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첫 번째로 중증의 복통이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갑작스럽게 통증이 나타나지만, 의사가 검진 중에 복부를 누르면 경미한 통증만이 느껴집니다(누르면 통증이 훨씬 더 심해지는 충수염 또는 게실염 등의 질환과는 달리). 그 후에는 장이 괴사하기 시작함에 따라 의사의 복부 검진은 더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진단
예후
치료
수술 시 장간막 허혈이 진단되는 경우, 혈관 폐색을 제거하거나 혈류를 우회시켜 흐르게 할 수 있지만 영향을 받은 장을 제거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CT 혈관조영술 중에 장간막 허혈이 진단되는 경우, 의사는 혈관조영술을 사용하여 혈관 폐색을 완화하려 시도할 수 있습니다. 혈관조영술에서는 서혜부 동맥을 통해 장의 동맥으로 작은 신축성 있는 관(카테터)을 통과시킵니다. 혈관조영술 중에 폐색을 보게 된다면 특정 약물을 주사하고 특수 혈관조영술 카테터를 사용하여 피떡을 흡인하거나 동맥 내에서 작은 풍선을 팽창시켜 동맥을 넓힘으로써 동맥을 개방시킨 후 작은 관 또는 제조된 메쉬(스텐트)를 삽입하여 개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이러한 시술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차단을 개방할 수 없다면, 폐색을 개방하거나 영향을 받은 장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필요합니다.
회복 후 많은 사람들은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약물을 복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