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진단
의사는 구조적 또는 신경학적 이상을 가진 환자를 검사합니다. 이 검사는 항문 및 직장 검사, 항문 주변의 감각 범위 확인 및 보통 구불창자내시경검사 수행을 포함합니다.
항문 괄약근의 초음파, 골반 및 회음 부위의 자기공명영상(MRI), 골반 내막의 신경 및 근육 기능 검사, 직장 및 항문의 압력 측정(항문직장 압력측정)을 포함한 기타 검사도 요구될 수 있습니다.
치료
대변 실금을 교정하는 첫 번째 단계는 잘 형성된 대변을 생성하도록 정기적인 대변 패턴을 만들려고 하는 것입니다. 소량의 섬유질을 추가하는 등의 식사 변화가 종종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변화가 도움이 되지 않을 경우, 로페라미드 등 배변을 느리게 하는 약물이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항문 근육(괄약근)을 조이거나 완화하여 운동시키는 것이 탄력과 힘을 증가시킵니다. 생체되먹임이라 부르는 기술을 사용하면 괄약근을 재훈련하고 직장을 대변에 더욱 민감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약 70%의 자극이 잘 된 환자가 생체되먹임으로 호전되기도 합니다.
대변 실금이 지속될 경우, 예를 들어, 항문의 손상 또는 항문의 해부학적 결함이 원인일 때 수술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 방법으로 결장조루술(대장 및 복벽 사이를 여는 외과적 생성—{blank} Understanding Colostomy)이 수행될 수 있습니다. 항문을 꿰매 차단하고 대변을 복벽에 있는 개구부에 부착된 제거 가능 비닐봉지로 우회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