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순 파열
작성자:
Paul L. Liebert, MD, Tomah Memorial Hospital, Tomah, WI
(또한 스포츠 손상 개요 스포츠 손상 개요 스포츠 손상은 운동선수들과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그 밖의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합니다. 전통적으로 스포츠 손상으로 간주되는 특정 손상은 스포츠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가정주부와 공장 근로자는 테니스를 한 번도 쳐본... 더 읽기 참조)
어깨는 팔을 안팎으로 회전은 물론 앞, 뒤 및 측면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구와 관절입니다( 어깨 해부학 어깨 관절의 해부학 참조). 어깨는 불안정한 경향이 있습니다. 어깨는 구멍(와골)이 구(상박골 머리)에 비해 매우 얕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마치 골프공이 치아 위에 놓여 있는 것 같습니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멍을 와골 입구 주위에 붙어 있는 쫀득거리는 물질인 관절순으로 깊이 박습니다. 관절순은 운동 활동 중, 특히 던지는 운동 중 또는 팔을 활짝 벌린 상태로 넘어지거나 착지함으로 인해 파열될 수 있습니다.
관절순이 파열되면 운동선수는 움직일 때, 가령 야구에서 공을 던질 때 어깨에 깊은 통증을 느낍니다. 이 불편함에는 아프게 딸깍거리거나 철컹거리는 느낌과 어깨가 잡히는 느낌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진단을 내리기 위해 자기공명영상(MRI)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통 물리치료가 첫 치료법입니다. 증상이 해결되지 않으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1. 엎드린 채로 누워 손상된 팔을 침대 가장자리 바깥에서 늘어뜨리고 엄지손가락을 몸에서 멀리 향하게 합니다.
2. 팔꿈치를 똑바로 편 채로 팔을 몸통 수준까지 올리는 동안 견갑골을 아래 및 뒤쪽으로 모읍니다.
3. 시작 위치로 돌아갑니다.
4.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5. 견딜 수 있는 만큼 가벼운 중량물을 추가합니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손상된 쪽의 팔과 몸 사이에 베개를 낀 채 손상되지 않은 쪽으로 눕습니다.
2. 손상된 팔꿈치를 90°로 구부립니다.
3. 어깨뼈를 척추 및 아래쪽으로 모읍니다.
4. 손등이 천정을 향하도록 어깨에서 회전하여 아래팔을 위로 움직입니다.
5. 천천히 시작 위치로 돌아와서 반복합니다.
6. 하루에 한 번,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7. 견딜 수 있는 만큼 가벼운 중량물을 추가합니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엎드린 채로 누워 손상된 팔을 테이블 가장자리 바깥으로 떨어뜨리고 엄지손가락을 몸에서 멀리 향하게 합니다.
2. 어깨뼈를 척추 및 아래쪽으로 모읍니다.
3. 팔을 어깨 높이로 들어 올립니다.
4. 팔을 바닥으로 내리고 이를 반복합니다.
5. 하루에 한 번,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6. 특별 지시 사항
a. 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뼈를 움직이지 마십시오.
b. 엄지손가락이 천정 쪽을 향하게 합니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침대에 엎드린 채로 누워 손상된 팔을 침대 가장자리에서 팔꿈치를 90° 구부리고 엄지손가락을 몸쪽을 향하게 하여 옆쪽으로 뻗습니다.
2. 어깨뼈를 척추 및 아래쪽으로 모읍니다.
3. 아래팔을 위쪽으로 회전시킵니다.
4. 시작 위치로 돌아와서 반복합니다.
5. 하루에 한 번,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6. 특별 지시 사항
a. 아래팔을 들어 올릴 때 어깨뼈를 움직이지 마십시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지탱하기 위해 손을 벽에 댄 채 벽을 마주보고 서거나 벽 옆에 섭니다.
2. 해당되지 않는 쪽 다리를 앞에 놓습니다.
3. 발꿈치를 바닥에 올려 놓고 두 무릎을 천천히 구부려 뒷다리의 종아리에서 스트레칭을 느낍니다.
4. 스트레칭을 30초 동안 유지합니다.
5. 하루에 세 번, 4회씩 1세트 반복합니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탄력 밴드의 한쪽 끝을 허리 높이의 고정된 물체에 놓습니다.
2. 손상된 쪽의 팔꿈치와 몸 사이에 베개나 돌돌 만 수건을 댑니다.
3. 팔꿈치를 90°로 구부리고 엄지손가락을 올린 상태로 손상된 손으로 밴드를 잡습니다.
4. 바깥쪽으로 팔을 회전시킨 후 천천히 시작 위치로 돌아갑니다.
5. 하루에 한 번,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6. 특별 지시 사항
a. 저항이 가장 적은 밴드부터 시작합니다.
b. 팔을 옆구리에 대고 팔꿈치를 90° 구부립니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탄력 밴드의 한쪽 끝을 허리 높이의 고정된 물체에 놓습니다.
2. 손상된 쪽의 팔꿈치와 몸 사이에 베개나 돌돌 만 수건을 댑니다.
3. 팔꿈치를 90°로 구부리고 엄지손가락을 올린 상태로 손상된 손으로 밴드를 잡습니다.
4. 팔을 안쪽으로 회전시킨 후(몸을 가로질러 손을 안쪽으로 잡아당긴 후), 천천히 시작 위치로 돌아갑니다.
5. 하루에 한 번,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6. 특별 지시 사항
a. 저항이 가장 적은 밴드부터 시작합니다.
b. 팔을 옆구리에 대고 팔꿈치를 90° 구부립니다.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

1. 손상된 쪽의 손에 역기를 듭니다.
2. 엉덩이와 무릎을 약간 구부리고 테이블 또는 침대에 올려 놓은 다른 손으로 상체를 받쳐줍니다.
3. 팔꿈치를 90°로 구부리고 견갑골을 움츠려(압착) 팔꿈치를 어깨 높이로 올립니다.
4. 시작 위치로 돌아갑니다.
5. 하루에 한 번, 10회씩 3세트 반복합니다.
6. 특별 지시 사항
a. 1~2파운드(0.5~1kg) 역기로 시작합니다(즉, 수프 캔).
자료 제공: 토마 메모리얼 병원 물리치료부(Tomah Memorial Hospital,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Tomah, WI; Elizabeth C.K. Bender, MSPT, ATC, CSCS; 및 Whitney Gnewikow, DPT, A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