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계는 중추신경계, 즉 뇌와 척수의 외부에 있는 신경계입니다.
따라서 말초 신경계는 다음과 같은 신경을 포함합니다.
-
머리, 안면, 눈, 코, 근육 및 귀를 뇌에 연결하는 신경(뇌신경)
-
척추 신경 31쌍을 비롯하여 척수를 신체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하는 신경
-
신체 전체에 1천억 개가 넘는 신경 세포
Using the Brain to Move a Muscle
말초 신경 기능 장애는 다음과 같은 신경 부위의 손상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말초 신경 질환은 다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근육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운동 신경이 손상되면 근육이 쇠약해지거나 마비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나 온도 및 진동 등의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감각 신경이 손상되면 이상 감각이 느껴지거나 감각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운동 신경(뉴런) 장애는 근육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의 퇴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 장애는 드물지만, 진행성이고 종종 치명적입니다.
원인
유전성이거나 (독소 노출, 손상, 감염 또는 대사성/염증성 질환으로 인하여) 후천성일 수도 있습니다.
Some Causes of Peripheral Nerve Disorders
유형 |
예 |
운동 뉴런 질환 |
|
유전성 |
척수성 근육 위축 제 I-IV형 |
갑자기 시작되는 후천성 질환 |
소아마비, 콕삭키바이러스 또는 기타 엔테로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드묾) 및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
만성적인 후천성 질환 |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루게릭병), 신생물딸림 증후군, 소아마비후 증후군 및 진행성 연수 마비 |
신경근 장애 |
|
유전성 |
신경섬유종(신경 조직이 부드럽고 비대하게 성장) |
후천성 |
|
신경총 장애 |
|
후천성 |
급성 팔 신경염, 자가면역 질환, 신생아 분만 시의 손상, 당뇨병, 혈종(혈액 주머니), 심각한 부상(과속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 등), 전이성 암, 신경섬유종증(드묾) 및 신경 종양 |
말초 신경 질환 |
|
유전성 |
유전성 신경병증(샤르코-마리-투스병 등) |
감염성 |
|
염증성 |
|
허혈성(혈액 공급 차단으로 인함) |
혈관염(혈관의 염증) |
대사성 |
|
압력 관련(신경 포착 증후군이라 함) |
|
독소 |
비소, 납 및 수은 |
신경근 이행부 장애 |
|
다양함 |
영아에서의 보툴리누스 중독, 이튼-람베르트 증후군, 중증근육무력증 및 살충제 또는 신경 가스(사린 등) 노출이나 특정 약물 사용으로 인한 기능 장애 |
*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은 뇌의 신경뿐만 아니라 척수의 신경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말초 신경 질환과 유사한 장애
신경근 이행부 장애는 근쇠약 등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지만 말초 신경 질환과는 다릅니다. 신경근 이행부는 말초 신경 섬유의 끝이 근육막의 특수한 부위에 연결되는 곳입니다. 신경 섬유는 신경근 이행부를 통해 신경 임펄스를 전달하여 근육이 수축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화학 전달물질(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합니다. 신경근 이행부 장애에는 영아 보툴리누스 중독, 이튼-람베르트 증후군, 중증근육무력증 및 살충제, 신경 가스(사린 등)나 특정 약물로 인한 기능 장애가 포함됩니다.
말초 신경 질환과 같이 신경보다 근육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은 근쇠약을 일으킵니다. 의사는 쇠약의 원인이 근육 질환인지 아니면 신경 질환인지 확인하기위한 검사를 실시합니다. 근육 장애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뒤쉔 근디스트로피, 베커 근디스트로피, 가족성 주기 마비, 지대형 근디스트로피, 미토콘드리아 선천성(톰슨병) 및 근긴장 디스트로피(스타이너트병)와 같은 유전성
-
감염(보통 바이러스성) 및 다발근육염과 피부근육염과 같은 염증성
진단
말초 신경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의사는 환자에게 다음을 포함한 증상을 설명해 줄 것을 요청합니다.
또한, 의사는 환자에게 가능한 원인에 대해 질문하며, 여기에는 환자가 감염 또는 다른 질환을 겪은 적이 있는지, 독소에 노출된 적이 있는지, 가족 구성원 중 유사한 증상을 가진 자가 있는지 등이 포함됩니다. 의사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증상의 원인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철저한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가 원인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의사는 다음을 평가합니다.
의사는 보통 검진 중에 발견한 결과를 통해 가능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검사도 이를 바탕으로 결정합니다.
검사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문제가 신경 또는 근육에 있는지 여부를 의사가 판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근전도검사 및 신경 전도 검사
-
뇌신경 또는 척수에 영향을 미치는 이상(종양 등)을 확인하고 증상의 다른 원인을 배제하기 위한 영상 검사
-
문제의 유형을 확인하기 위한 근육과 신경 생검(신경이 탈수초화되었거나 염증이 있는지 여부 등)
-
의사가 유전성 신경병증을 의심하는 경우 유전자 검사(이상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한 혈액 검사)
치료
질환이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 가능하다면 해당 질환을 치료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의사들은 증상 완화에 초점을 둡니다.
환자가 진행성 장애를 극복하는 데에는 다수의 보건의료인으로 구성된 팀(다학제간 협력 치료팀)의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팀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말초 신경 질환이 수명을 단축시킨다면 환자, 가족 구성원 및 간병인은 환자가 건강 관리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없게 될 경우에 대비해서 보건의료인에게 건강 관리 결정에 대해 솔직히 이야기해야 합니다. 최상의 접근법은 환자가 건강 관리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없게 될 경우에 대비해서 의료 결정에 대한 바램을 진술하는 법적 문서(사전 의료지시서라 부름)를 준비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