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치매

작성자:

The Manual's Editorial Staff

검토/개정일 2022년 12월 1일

치매란 무엇입니까?

치매는 기억, 사고, 학습을 어렵게 만드는 뇌 문제입니다. 대부분의 치매는 점차로 시작되며 65세 이후에 시작됩니다.

치매의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치매는 뇌장애입니다. 특정한 원인이 없거나 많은 장애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노인들에서 대부분의 치매는 다음에 의해 유발됩니다.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뇌 문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어떤 것들은 치매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심부전 및 갑상선 장애와 같은 다른 건강 문제

  • 알코올

  • 수면제, 감기약, 항불안제와 같은 약물

치매의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치매는 다음에 대한 문제를 유발합니다.

  • 기억력

  • 언어 사용

  • 성격

  • 명확한 사고를 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장보기, 요리하기, 돈 관리하기와 같은 정상적인 일상 활동 수행을 어렵게 만듭니다. 또한 적절하게 행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증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화됩니다.

치매의 초기 증상

  • 방금 일어난 일을 잊어버림

  • 물건은 어디에 두었는지 잊어버림

  • 적당한 단어를 찾는 것과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 청구서 납부하는 것을 잊어버림

  • 숫자에 대해 평소보다 더 어려움을 겪음

  • 친숙한 장소를 운전할 때 길을 잃어버림

  • 행복하다가 슬픈 감정으로 빨리 바뀌는 등, 보다 감정적이 됨

친구와 가족은 흔히 환자가 환자 자신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차림 처음에는 차이를 알아차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때로는 환자 자신이 문제가 있다는 것을 먼저 알아차리기도 합니다. 그러한 어려움은 흔히 환자를 좌절하고 화나게 만듭니다.

치매의 중기 증상

  • 화장실이나 침실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집에서 길을 잃어버림

  • 친숙한 사람이나 사물을 인지하지 못함

  • 쉽게 혼돈을 느끼고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거나 간단한 지시를 따를 수 없음

  • 더 이상 운전하기에 안전하지 않음

  • 목욕하기, 옷입기, 식사에 도움이 필요함

  • 정상 대화를 이해하지 못함

  • 소리지르기, 공공장소에서 옷벗기, 때리기, 질문 반복하기 등, 이상한 행동을 함

  • 잠들고 수면을 유지하는 데 문제를 겪음

성격 변화가 더 심해짐. 치매 환자는 두려움을 느끼거나 의심이 많을 수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화가 나고 적대적이 됩니다. 다른 이들은 위축되고 우울해집니다.

치매의 후기 증상

  • 최근 및 과거 사건에 대한 모든 기억을 잃어버림

  • 대화를 이해할 수 없음

  • 가까운 가족이나 거울 속의 자신 얼굴을 알아보지 못함

  • 걷거나 밥먹거나 다른 일상 활동을 할 수 없음

후기 치매에서는 거의 모든 뇌기능이 소실됩니다. 침대에서 나오거나 심지어는 움직일 수도 없습니다. 결국, 입 안에 있는 음식을 삼킬 수도 없게 됩니다.

의사들은 치매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의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증상에 대한 질문을 합니다. 또한 기억력 검사 및 다른 뇌 검사를 합니다.

다른 건강 문제가 치매를 유발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의사는 신체 검사 및 혈액 검사를 합니다. 또한 의사는 뇌의 이상을 알아보기 위해 컴퓨터 단층촬영(CT) 또는 자기공명영상(MRI) 같은 영상 검사들을 실시합니다.

의사는 치매를 어떻게 치료합니까?

의사들은 다음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간병인 관리

어떠한 유형이든 치매 환자를 간병하는 것은 스트레스가 많고 강도가 높은 일입니다. 간병인은 우울함을 느끼고 지칠 수 있으며 자신의 정신 및 신체 건강을 돌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간병인은 다음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치매 환자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방법과 그러한 환자들에게 예상할 수 있는 사항들을 학습

  • 주간 요양 보호 프로그램, 가정 간호사의 방문, 가사 보조, 시설 입주 보조, 상담, 지원 모임과 같은 곳에서 필요할 경우 도움을 요청

  • 친구, 취미 및 활동에 정기적인 시간을 보내는 등 자신을 돌보기 위해 시간을 할애

맨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