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 장애 진단에 영상 검사가 도움이 되는 방법

검사

용도

뇌혈관조영술(카테터 사용)

심장에서 뇌로 혈액을 전달하는 동맥(경동맥 및 추골동맥) 등 뇌로 가는 혈관의 세부적인 이미지 획득

혈관조영술, 스텐트 삽입 또는 동맥류(동맥의 팽창) 회복 수술과 같은 시술 전에 가장 많이 실시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X-레이상에서 볼 수 있음)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컴퓨터 단층촬영(CT)

뇌의 구조적 이상(종기, 종양, 수두증 등)을 확인

뇌의 출혈 확인 또는 뇌졸중의 증거 확인

척추 추간판의 파열 또는 탈출 확인

척추 골절 확인

뇌종양의 방사선 요법 또는 뇌농양에서 항생제 효과 모니터링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를 이용한 CT 혈관조영술(CTA)

뇌 혈관의 세부 이미지 획득 및 뇌졸중을 경험했던 환자에서의 동맥 내 혈전 식별(뇌혈관조영술은 대부분 CTA로 대체 됨)

경동맥 및 뇌 하부(경두개)에 있는 동맥의 도플러 초음파조영술

목과 머리에 있는 동맥의 좁아짐 또는 폐색을 확인 및 평가하여 뇌졸중 위험 평가

일과성 허혈 발작을 경험한 사람들을 발작 후와 일정 시간 동안 평가하기 위해 가장 많이 실시

자기공명영상(MRI)

뇌의 구조적 이상(종기, 종양, 수두증) 확인(뇌 조직 이미지는 CT보다 선명하고 자세함)

농양, 종양 및 척수 누공(체액이 찬 공간)과 같은 이상 확인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자기공명 혈관조영술(MRA)

뇌졸중이나 일과성 허혈 발작을 겪은 환자 또는 동맥류가 있을 수 있는 환자 또는 동정맥 기형(동맥과 정맥 사이의 비정상적 연결)이 있을 수 있는 환자의 동맥 평가

자기공명 정맥조영술(MRV)

뇌로 가는 정맥 내 혈전(뇌정맥 혈전증)을 탐지하거나 치료가 이 장애에 끼치는 영향 모니터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업무를 수행했을 때(독서, 작문, 기억, 계산 또는 사지 움직임 등) 뇌의 어느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확인

관류 강조 영상(PWI) MRI

뇌의 특정 부위를 얼마 만큼의 피가 흐르는지 추산

확산 강조 영상(DWI) MRI

매우 초기 단계의 뇌졸중 확인 및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진단에 도움

자기공명(MR) 분광법

농양, 종양 및 뇌졸중 구분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뇌의 혈류 및 대사 활성도 평가

발작 장애 관련 정보 제공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일과성 허혈 발작 및 뇌졸중 확인에 도움

임상연구에서 가장 많이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