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 특징† |
검사‡ |
외이(전도성 상실) |
||
폐색(귀지, 이물[이물질], 외이 감염, 또는 드물게 종양에 의해 유발되는) |
의사의 검진 중 눈으로 확인 가능 |
의사의 검진 |
중이(전도성 상실) |
||
보통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고막(의사 검진 중 확인) 때때로 어지러움, 귀 통증이나 먹먹함, 또는 귀 분비물 흔히 다양한 과거 귀 감염 |
고실계측법 중증 또는 재발성 감염의 경우 영상 촬영 |
|
귀 외상§ |
종종 눈에 보이는 고막 천공, 관 내 또는 고막 뒤 출혈, 또는 둘 다 최근 명백한 손상을 입은 사람에게서 나타남 |
의사의 검진 |
귀경화증 |
흔히 유사한 청력 상실을 겪은 가족 구성원 느리게 악화되는 청력 상실 종종 20대와 30대에 시작되는 청력 상실 |
고실계측법 |
종양(암성 또는 비암성) |
흔히 의사 검진 중 눈으로 확인 가능한 종양 한쪽 귀의 청력 상실 |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또는 MRI |
내이(지각 상실) |
||
유전 질환 |
흔히 유사한 청력 상실을 겪은 가족 구성원 종종 다른 기관계의 질병 동반 |
유전자 검사 내이의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및/또는 MRI |
소음 노출 |
보통 병력에 명백히 나타남 소음이 얼마나 시끄러운지와 노출 기간이 얼마인지에 따라 일시적 또는 영구적 청력 상실 |
의사의 검진 |
고령의 나이(남자의 경우 55세 이상, 여자의 경우 65세 이상) 양쪽 귀의 점진적인 청력 상실 보통 신경학적 검사 |
의사의 검진 |
|
다음과 같이 귀를 손상시키는 약물(이독성 약물) |
최근 원인이 되는 약물을 사용한 사람에게서 나타남 양쪽 귀의 청력 상실 때때로 어지러움 및 균형 상실 |
의사의 검진 때때로 혈액 약물 수치 |
다음과 같은 감염 |
명백한 감염의 병력 감염 중 또는 직후에 청력 상실 |
의사의 검진 |
다음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 |
관절 염증과 발진 흔히 장애를 갖고 있다고 알려진 사람에게서 나타남 |
혈액 검사 |
저주파수 청력 상실의 에피소드(일반적으로 한쪽 귀에서만) 귀의 먹먹함 |
종양을 배제하기 위해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MRI |
|
압력 변화(압력손상, 잠수 시 나타나는 것과 같이) |
한쪽 또는 양쪽 귀의 난청 원인이 되는 활동(예: 스쿠버 다이빙, 비행기의 빠른 하강) 중 또는 귀에 타격을 받은 후 갑작스러운 발병 때때로 통증, 폭발음, 어지러움 또는 귀 울림을 동반 |
고실계측법(소리가 귀를 통해 얼마나 잘 지나가는지 측정하는 장치를 귀에 배치) 전기눈떨림검사(안진이라고 알려진 상태에 의해 유발되는 눈의 불수의 운동을 기록하는 검사)를 동반하는 균형 검사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또는 MRI |
머리 손상(흔히 두개저의 골절에 따라)§ |
최근 명백한 중증의 손상을 입은 사람에게서 나타남 아마도 어지러움 또는 늘어지는 얼굴 근육 때때로 감염된 귀에서 나오는 액체(혈성, 혈액이 약간 섞인, 또는 투명한) 또는 고막 뒤 출혈 |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CT 또는 MRI |
청신경병증 |
소리는 잘 감지하지만 단어를 잘 이해하지 못함 |
특수 청각 검사 조영제(가돌리늄)를 사용한 MRI |
신경계(신경 상실) |
||
다음과 같은 종양 |
한쪽 귀의 청력 상실, 흔히 귀울림과 함께 흔히 어지러움 또는 현기증, 균형 장애 때때로 얼굴 근육의 늘어짐 및/또는 얼굴의 무감각 및 후각 이상 |
조영제(가돌리늄)를 사용한 MRI |
탈수초 질환(예, 다발 경화증) |
한쪽 귀의 청력 상실 때때로 신체의 여러 부분에서 나타났다 사라지는 쇠약 및 무감각 |
조영제(가돌리늄)를 이용한 뇌와 척수 MRI 때때로 척추 천자(요추 천자) |
* 각 그룹은 대략적인 빈도의 순서에 따라 나열되었습니다. |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사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 항상 청각학적 검사와 함께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추가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 및 청각학적 검사를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다시 말해, 추가 검사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 전도성 및 지각 신경 청력 상실의 혼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MRI = 자기공명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