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 | 일반적인 특징* | 검사† |
---|---|---|
신경학적 장애 | ||
보통 이전에 뇌졸중 진단 받음 신체 한 쪽의 마비 또는 쇠약, 말하기 어려움, 걷기 곤란 또는 두 장애 모두 | 뇌 CT 또는 MRI | |
근육 경직 및 정상보다 더 적은 자발적 운동 비자발적, 비율동적 떨리는 움직임(떨림), 협동 운동 실조(운동실조), 균형 장애 | 의사의 검진 CT 또는 MRI 실시 | |
시력 문제, 근쇠약 및/또는 비정상 감각을 포함한 신체 다양한 부위에 관여하는 일시적인 증상 종종 쇠약하고 서투른 운동 | MRI 종종 척수 천자 | |
일부 운동 뉴런 장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근육 단일수축, 소모, 쇠약 씹기, 삼킴, 대화의 어려움 지속 | 전기 진단 검사(근육 자극 후 전기적 활동 기록에 관여하는 바늘 근전도검사 등) 실험실 검사 뇌의 MRI |
근육 장애 | ||
약하고 감기는 눈꺼풀 및 약한 안근 사용 후 과다한 근쇠약 | 원인이 근무력증인 경우 일시적으로 근력을 향상시키는 약물(혈관 내로 투여) 사용 근전도검사 근전도검사 및 신경 전도 검사 병력과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시사된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 진단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뇌파검사(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파형으로 기록하여 종이에 인쇄 및/또는 컴퓨터에 기록하는 간단하고 고통 없는 절차입니다. EEG는 다음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더 읽기 혈액 검사 | |
근 쇠약 열, 피로, 체중 감량 종종 관절 통증 및/또는 부기 종종 거무스름하고 붉은 발진 | 혈액 검사 근전도검사 근육 생검 | |
아동기부터 시작된 근쇠약 | 근육 생검 유전자 검사 | |
식도의 운동성(운동) 장애 | ||
이완불능증 이완불능증 이완불능증은 식도 율동 수축(꿈틀운동이라 부름)이 없거나 저하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정상적으로 이완되지 않고 하부 식도 괄약근의 정지압이 증가하는 장애입니다. 이 장애의 이러한 원인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부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 후 발생할... 더 읽기 (식도 율동 수축이 상당히 감소되고 하부 식도 근육이 정상적으로 이완되지 않음) | 몇 개월에서 몇 년 동안 악화되는 고체 및 액체 삼킴 곤란(삼킴곤란) 종종 자는 도중 소화되지 않은 음식의 역류(침뱉기) 흉부 불편감 소식 후 포만감(조기 포만감), 메스꺼움, 구토, 배부품 및 음식으로 악화되는 증상 | 바륨 삼킴 검사 검사 일부 환자는 삼킴 곤란(연하 곤란)을 겪습니다. 삼킴곤란에서 음식 및/또는 액체는 인후(인두)에서 위로 정상적으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인후와 위를 연결하는 관(식도)로 내려오는 중 음식 또는 액체가 걸린 것처럼 느낍니다. 삼킴곤란을 인후에의 덩이( 식도... 더 읽기 식도 수축 중 생성된 압력 측정(식도 압력측정) |
흉통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삼킴 곤란 | 바륨 삼킴 검사 식도 압력측정 | |
레이노 현상 레이노 증후군 기능성 말초 동맥 질환인 레이노 증후군은 보통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작은 동맥(세동맥)들이 추위에 노출된 반응으로 정상보다 더 단단히 협착(수축)하는 병태입니다. 소동맥이 수축되면 손가락(또는 발가락)이 창백해지거나 파래지거나 무감각해지거나 저립니다... 더 읽기 관절 통증 및/또는 부기 손가락 피부의 부품, 두꺼워짐, 팽팽해짐(종종 얼굴 및 기타 부위도 발생) 때때로 속쓰림, 삼킴 곤란, 숨가쁨 발생 | 의사의 검진 보통 혈액 검사 실시 | |
식도의 신체 폐색 | ||
위산에 노출되어 일어나는 흉터 조직의 협착(소화성 협착) | 장기간의 위장 역류 증상(속쓰림 등) | 내시경검사(유연한 내시경 튜브를 활용한 내부 구조 검사) |
몇 주 또는 며칠에 걸쳐 악화되는 지속적인 음식 및 액체 삼킴 곤란 체중 감소 흉통 | 내시경검사 생검 | |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삼킴 곤란 | 내시경검사 바륨 삼킴 검사 | |
식도 압박은 다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종종 갑상선 비대 발생 | 바륨 삼킴 검사 방사선 불투과성 조영제(X-레이에서 육안으로 관찰 가능)을 동맥에 주사한 후 찍은 X-레이(동맥조영술) 대동맥류 또는 종양이 의심되는 경우, CT |
강한 산성 및 알칼리 등 부식성 물질 주입 | 섭취 이후 몇 주에서 몇 개월 간 삼킴 곤란 발생 | 내시경검사 |
* 특징은 증상 및 의사의 검진 결과를 포함합니다. 언급된 특징은 전형적이지만 항상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
† 항상 의사의 검진을 실시하지만, 때로는 검사 없이 의사의 검진을 통해서만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경우에만 이 열에서 이를 언급합니다. | ||
CT = 컴퓨터 단층촬영; MRI = 자기공명영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