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각 및 미각 장애들이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면밀한 의료적 관심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장애들은 음식이나 음료수를 즐기고 기분 좋은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좌절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장애들은 또한 잠재적으로 유해한 화학물질 및 가스들을 알아차리는 능력을 방해하여 심각한 결과들을 낳을 수 있습니다. 가끔, 후각 및 미각 손상은 종양과 같은 심각한 장애에서 비롯됩니다.
후각과 미각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혀의 미뢰는 맛을 확인하고, 코의 신경들은 냄새를 확인합니다. 두 감각들 모두 뇌로 소통이 되며, 뇌는 정보를 통합하여 맛을 인식하고 감상합니다. 일부 맛들—예를 들어 짜고, 쓰고, 달고, 시큼한—은 후각 없이도 인식이 가능 합니다. 그러나 좀 더 복잡한 맛들의 경우(라즈베리와 같은) 미각 및 후각 모두에서의 인식이 필요합니다.
후각의 부분적 상실(후각저하) 및 완전한 후각 상실(후각소실증)은 가장 일반적인 후각 및 미각 장애들입니다. 하나의 맛을 다른 맛으로부터 구분하는 것은 크게 냄새를 기분으로 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대개 음식 맛이 없어지면 냄새를 맡는 능력이 저하된 것을 처음으로 알아차립니다.
사람들이 맛을 느끼는 방법
대부분의 맛을 구분하기 위해서 뇌는 냄새 및 맛 양쪽 모두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감각들은 코와 입을 통해서 뇌로 소통됩니다. 뇌의 여러 부분들이 정보를 통합하고 사람들이 맛을 인식하고 인정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코 안을 싸고 있는 점막의 작은 부분(후각상피)은 후각 수용체들이라 불리는 특화된 신경 세포들을 포함합니다. 이들 수용체들은 냄새를 감지하는 털 같은 돌기들(섬모)을 가지고 있습니다. 콧구멍으로 들어가는 공기로 운반되는 분자들은 섬모를 자극하여 주변 신경 섬유들 내의 신경 충격을 촉발합니다. 섬유들은 비강의 천장을 형성하는 뼈를(체판) 통해 위쪽으로 확장하여 신경 세포들(후신경구)의 비대와 연결됩니다. 이들 신경구들은 후각의 뇌신경들(후신경)을 형성합니다. 충격은 후신경구를 통해서 후신경을 따라 뇌로 이동합니다. 뇌는 충격을 뚜렷한 냄새로 이해합니다. 또한 냄새의 기억이 저장되는 뇌의 부분—측두엽의 중간에 있는 후각 및 미각 중심—이 자극을 받습니다. 이러한 기억들은 사람이 살면서 경험하는 다양한 냄새들을 구별하고 알아보는 것을 가능하게 합니다. 수천 개의 아주 작은 미뢰들이 혀 표면의 대부분을 덮고 있습니다. 미뢰는 섬모가 있는 여러 유형의 미각 수용체들을 포함합니다. 각각의 유형은 달고, 짜고, 시고, 쓰고, 고소한 맛(또한 감칠맛이라고도 함, 글루탐산 일나트륨의 맛)의 다섯 가지 기본 맛들 중 하나를 감지합니다. 이런 맛들은 혀 전체에서 감지될 수 있으나, 특정한 부분들은 각각의 맛에 대해 좀 더 민감합니다. 단맛은 혀 끝에서 더 쉽게 식별되는 반면에 짠맛은 혀의 앞쪽 양면에서 가장 잘 느껴집니다. 신맛은 혀의 옆쪽을 따라 가장 잘 인지되고 쓴 감각은 혀 뒤쪽의 1/3 지점에서 쉽게 감지됩니다. 입안에 놓인 음식은 섬모를 자극하여 맛의 뇌신경(얼굴 및 설인두 신경)과 연결되어 있는 주변 신경 섬유의 신경 충격을 촉발합니다. 충격은 이들 뇌신경들을 따라 뇌로 이동하고 뇌는 다양한 유형의 맛 수용체로부터 충격들의 조합을 뚜렷한 맛으로서 이해합니다. 음식의 냄새, 맛, 질감 및 온도에 대한 감각 정보는 뇌에 의해 처리되어 음식이 입에 들어와서 씹었을 때 뚜렷한 맛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냄새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능력은 코, 코에서 뇌로 이어지는 신경들, 또는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콧구멍이 감기로 인해 막히면 냄새가 후각 수용체들(코의 점막 내벽에 있는 특화된 신경 세포들)에 닿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능력이 줄어듭니다.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능력이 미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감기에 걸린 사람들은 음식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할 수 있습니다. 후각 수용체들은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에 의해 일시적으로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몇몇 사람들은 독감을 겪은 후 며칠에서 몇 주까지 냄새나 맛을 느끼지 못하며, 드물게 후각 또는 미각 상실이 영구적인 것이 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후각 상실이 또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2019(COVID-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코로나-19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중증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코로나-19 감염을 진단하는 데 두 가지 유형의 검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염을... 더 읽기 )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급성 호흡기 질환인 이 질병은 중증으로 나타날 수 있고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라는 공식 명칭을 지닌 새로 확인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후각 상실 후각 상실 후각소실증은 후각의 완전한 상실을 말합니다. 후각저하는 후각의 부분적 상실을 말합니다. 후각소실증을 앓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짜고, 달고, 시고, 씁쓸한 물질의 맛을 느끼지만 특정한 맛 사이의 차이점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맛의 차이점을 구분하는 능력은 실제로 혀에 있는 맛 수용체가 아니라 후각에 달려있습니다. 그러므로 후각소실증을 앓는 사람들은... 더 읽기 참조.)
냄새에 대한 과민증(후각과민)은 후각 상실보다 훨씬 덜 일반적입니다. 임산부들은 일반적으로 냄새에 매우 민감해집니다. 후각과민증은 심신증일 수도 있습니다. 말하자면, 정신신체적 후각과민을 가진 사람들은 명백한 신체 장애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정신신체적인 후각과민은 히스테리성 인격을 가진(극적인 행동과 함께 관심을 얻고자 하는 뚜렷한 행동의 특징을 가짐) 사람들에게서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몇몇 장애들은 후각을 왜곡할 수 있으며, 무해한 냄새를 유쾌하지 못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후각이상). 이러한 장애들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부비동 감염
후신경에 부분적 손상
치아 위생 불량
구강 감염
우울증
바이러스 간염, 무해한 냄새에 의해 촉발되는 메스꺼움을 야기하는 후각이상을 유발
냄새의 기억이 저장되는 뇌의 부분—측두엽의 중간—에서 비롯되는 발작들은 강렬하고 기분 나쁜 냄새들의 짧은 거짓 감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후각환각). 이러한 냄새들은 발작이 시작될 것이라는 강렬한 느낌의 일부이며(조짐이라 함) 후각 장애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뇌 감염(헤르페스 뇌염) 또한 후각 환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맛
맛을 느끼는 능력의 저하(미각저하) 또는 미각 상실(미각소실)은 일반적으로 매우 건조한 구강을 유발함으로써, 혀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들로 인해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쇼그렌 증후군, 심한 흡연(특히 파이프 흡연), 머리와 목의 방사선 요법, 탈수, 그리고 약물(항히스타민제 및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 포함)의 사용을 포함합니다. 줄어든 아연, 구리 및 니켈 수치와 같은 영양 결핍은 미각과 후각 모두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미각 상실은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코로나-19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중증으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코로나-19 감염을 진단하는 데 두 가지 유형의 검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감염을... 더 읽기 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안면 신경 마비(얼굴의 반이 마비되는 장애)에서는 대개 한쪽 혀(마비가 온 쪽)의 앞 2/3의 미각이 상실됩니다. 그러나 혀의 나머지 부분의 미각은 정상이거나 증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실에 대해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혀의 화상은 일시적으로 미뢰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우울증 및 발작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장애는 미각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미각의 왜곡(이상미각)은 잇몸의 염증과(치은염) 우울증 및 발작과 같은 미각 또는 후각 상실을 야기하는 많은 동일한 증상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일부 약물들에 의해 미각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
항생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특정한 화학요법 약물
이뇨제
관절염 치료를 위한 약물
갑상선 약물
미각은 달콤하고(설탕), 시큼하고(레몬주스), 짜고(소금), 씁쓸한(아스피린, 퀴닌, 또는 알로에) 물질들을 사용하여 검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