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체질량 지수(BMI)로 정의됩니다. BMI는 체중(킬로그램)을 신장(미터)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BMI가 연령과 성별 기준 상위 5%에 속하는 청소년들이 비만으로 간주됩니다. 상위 5%에 속한다는 것은 BMI가 95%의 동료들보다 높음을 의미합니다(95번째 백분위 수 이상).
청소년 비만은 30년 전의 2배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비만 합병증은 성인기에 나타나지만, 비만 청소년은 또래 청소년들보다 고혈압과 제2형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비만인 성인의 1/3 미만이 청소년기에 비만이었지만 대부분의 비만 청소년들은 성인이 되어도 그대로 비만이 유지됩니다.
(또한 청소년에서의 문제 소개 참조)
원인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성인의 경우와 같습니다. 갑상선 기능 부전(갑상선기능저하증) 또는 과다활동성 부신과 같은 호르몬 장애가 비만을 결과할 수 있으나, 비만의 원인일 가능성은 드뭅니다. 호르몬 장애로 인해 체중이 증가한 청소년은 보통 단신이며, 빈번하게 기저 질환의 다른 징후를 보입니다. 단신이고 고혈압인 비만 청소년은 호르몬 장애인 쿠싱 증후군에 대해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유전학이 역할을 수행하고, 이는 일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비만의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회의 비만에 대한 시각 때문에 많은 비만 청소년들이 부정적 자아상을 가지고 있으며 점차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습니다.
치료
청소년 비만 치료는 특정량의 몸무게를 줄이기 보다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 습관을 개발하는 데 집중합니다. 열량 섭취를 줄이고 열량을 연소하는 것이 이 목표를 달성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열량 섭취는 다음을 통해 줄입니다.
열량 소비는 다음을 통해 증가시킵니다.
비만 청소년들을 위한 여름 캠프가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캠프가 끝난 후 체중 감소 노력을 지속하지 않는 경우, 체중이 보통 다시 증가합니다. 청소년의 부정적 자화상을 포함한 사회적 문제에 대처하도록 도와주는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체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은 안전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청소년기에는 보통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강한 비만 청소년의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이들은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당뇨병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물인 메트포르민은 체중을 줄이고 당뇨병 위험을 낮추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