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d 매뉴얼

Please confirm that you are not located inside the Russian Federation

honeypot link

심실성 빈맥

작성자:

L. Brent Mitchell

, MD, Libin Cardiovascular Institute of Alberta, University of Calgary

Home.Manuals.TopicPage.LastRevisionDate
주제 참고 자료

심실성 빈맥은 심실(심장 하부의 방)에서 유래하는 심장 박동으로, 분당 적어도 120회의 심박수를 일으킵니다(정상 심박수는 대개 분당 60회에서 100회 사이).

지속성 심실성 빈맥은 대개 심장마비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심장마비;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은 관상동맥의 급성 폐색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폐색은 폐색의 위치와 양에 따라 불안정 협심증이나 심장마비(심근경색증)를 유발합니다. 심장마비는 혈액 공급 부족으로 인한 심장 조직의 사멸입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경험하는 사람은 보통은 흉부의 압박 또는 통증과 숨가쁨 및/또는 피로를 느낍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이... 더 읽기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심장마비;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심부전 심부전(HF) 심부전은 심장이 신체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어서 혈액량이 감소하고 정맥과 폐에 혈액이 모이며(울혈), 그리고/또는 심장을 더욱 약화시키거나 경화시킬 수 있는 다른 변화로 이어집니다. 심장의 수축 작용 또는 이완 작용이 불충분할 때, 일반적으로 심장 근육이... 더 읽기 심부전(HF) , 심근병증 심근병증의 개요 심근병증이란 심장 방들의 근육벽 구조 및 기능의 진행성 손상을 지칭합니다. 심근병증에는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확장성 심근병증: 심실(두 개의 심장 하부 방)이 비대해집니다(확장됩니다). 비대성 심근병증: 심실 벽이 두꺼워지면서 뻣뻣해집니다... 더 읽기 심근병증의 개요 과 같이 구조적 심장 질환이 있는 이들에서 발견됩니다. 이 증후군은 노인들에게서 더 흔히 나타납니다. 하지만 드물게는 심실성 빈맥은 구조적 심장 질환이 없는 젊은 층에서도 발생합니다. 그런 젊은 층에서는 유전에 의해서나 특정 약물로 인해 생긴 긴 QT 증후군 긴 QT 증후군 및 염전성 심실성 빈맥 염전성 심실성 빈맥은 긴 QT 증후군이라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관한 독특한 장애를 지닌 이들에게서 발생하는 특정 유형의 심실성 빈맥입니다. QT 간격은 Q파의 시작 시점부터 T파의 끝 시점까지 심전도상 두 사건 사이의 시간을 나타냅니다. ( 이상 심장 박동 개요 및 심실성 빈맥 또한 참조.) 일부에서는 긴 QT 증후군이 선천적으로 발생합니다... 더 읽기 이라고 하는 심장 질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는 브루가다 증후군(심장 이온통로병증 심장 이온통로병증 심장 이온통로병증은 심장 전기 활동을 조절하는 심장 세포 단백질의 유전적 이상으로 심박동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상 심장 박동 개요 또한 참조.) 대부분의 심장 이온통로병증 환자는 심장마비나 심장 판막 장애와 같은 다른 심장 질환은 없으나 심장막 세공(통로)의 구성 또는 조절을 결정하는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으며 심박동... 더 읽기 )과 같은 다른 희귀 유전 질환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심실성 빈맥
비디오

심실성 빈맥의 증상

심실성 빈맥이 있는 이들에서는 거의 항상 심박동 자각(심계항진) 증상이 발견됩니다. 쇠약, 어찔어찔함, 그리고/또는 흉부 불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심실성 빈맥의 진단

심실성 빈맥의 치료

  • 심박동을 정상 박동으로 전환

  • 추가 에피소드 예방

즉각적 치료

심실성 빈맥은 증상이 있거나 심지어 증상이 없더라도 에피소드가 30초 이상 지속될 경우 치료합니다.

증상이 없지만 30초 이상 심실성 빈맥을 경험한 이들은 심장율동전환이나 정맥주사 약물을 통해서든 반드시 치료받아야 합니다.

심장율동전환은 고통스럽기에 진정제가 요구되지만, 이는 거의 항상 효과적이고 불편함을 제하면 거의 부작용도 없습니다.

약물이 불편하진 않지만 이상 심장 박동(부정맥)을 멈추는 데 있어 심장율동전환 만큼 효과적이지도 않고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도 큽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아미오다론, 리도카인 및 프로카인아미드 등의 약물을 사용합니다(표 부정맥 치료를 위한 약물들 부정맥 치료를 위한 약물들 부정맥 치료를 위한 약물들 참조).

장기 치료

장기 목표는 이상 박동을 단지 멈추기 보다는 갑작스런 사망을 방지하는 데에 있습니다. 기저질환으로 심장질환을 지니고 있으면서 심실성 빈맥이 있는 이들에서는, 특히 심장이 제대로 수축하지 않는 경우, 종종 이식 가능 심장율동전환 제세동기 정상 박동 회복 정상 박동 회복 (ICD, 부정맥을 발견할 수 있는 작은 장치로 이를 교정하기 위해 쇼크를 전달함)를 사용합니다. 해당 절차는 인공 박동조율기 인공 박동조율기 이상 심장 박동(부정맥)이라 함은 일련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심박동 또는 이상 전기 통로를 통해 심장에 전도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심장 질환은 이상 심장박동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간혹 사람들은 이상 심장... 더 읽기 인공 박동조율기 이식과 유사합니다.

특정 절차는 ECG에 의해 확인된, 보통 지속적 심실성 빈맥을 유발하는, 심실 내 작은 이상 부위를 파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런 절차들로 도관 절제술 정상 박동 회복 이상 심장 박동(부정맥)이라 함은 일련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의미하는 것으로, 너무 빠르거나 너무 느린 심박동 또는 이상 전기 통로를 통해 심장에 전도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심장 질환은 이상 심장박동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간혹 사람들은 이상 심장... 더 읽기 정상 박동 회복 (심장에 삽입되는 도관을 통해 특정 주파수의 에너지나 한기를 전달)과 심장 절개술이 포함됩니다.

추가 정보

다음과 같은 영문 자료는 유용할 수 있습니다. 본 매뉴얼은 이 참고 자료의 내용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맨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