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의 중앙 집뇨 부위(신우—보통 신우의 이행세포암종이라는 불리는 유형)의 내벽 세포, 그리고 신장에서 방광으로 소변을 운반하는 가느다란 관(요관)에서 암이 생길 수 있습니다. 신우와 요관의 암은 신장이나 방광의 나머지 부분에 생기는 암보다 훨씬 적습니다. 신우와 요관의 암은 미국에서 매년 6,000명 미만에게 발생합니다.
증상
진단
예후
치료
암이 신우와 요관 너머의 부위로 퍼지지 않았다면 일반적인 치료법은 방광 일부 부위와 함께 신장 및 요관 전체를 수술로 제거하는 것(신장요관절제술)입니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 예를 들어 신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거나 신장이 단 하나인 경우, 신장을 제거하면 투석에 의존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대개 신장을 제거하지 않습니다.
고등급 또는 높은 병기 종양의 경우, 때로는 수술 전에 화학요법을 사용합니다.
신우와 요관에 있는 일부 암의 경우 레이저로 치료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 자체만을 제거하고 신장, 요관의 비암성 부위 그리고 방광은 그대로 두는 수술로 치료할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미토마이신 C나 칼메트-게랭 간균(BCG—인체 면역계를 자극하는 물질) 등의 약물을 요관에 주입하거나 화학요법 약물을 투여합니다. 레이저 치료와 약물 주입이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유형의 암에 걸린 사람은 방광암에 걸릴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술 후 무기한으로 주기적인 방광경검사(유연한 내시경을 방광 안에 넣음)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