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장애에서, 식도를 통해 음식을 이동시키는 정상적인 추진성 수축은 식도를 통해 음식을 이동시키지 않는 비추진성 수축이나 과도한 근수축(과다수축)에 의해 주기적으로 대체됩니다.
식도 연축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신경 결함이 의심됩니다.
증상
식도 전체의 근육 연축은 일반적으로 가슴뼈 아래의 흉통으로 느껴지며 액체(특히 매우 뜨겁거나 찬 액체)와 고체의 삼키기 어려움(삼킴곤란)과 일치합니다. 통증은 야간에도 나타나며 잠에서 깰 정도로 심각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식도 연축은 삼킴 곤란 없이 심각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흔히 쥐어짜는 듯한 통증으로 묘사되는 이러한 가슴뼈 아래의 통증은 운동이나 활동에 수반될 수 있기 때문에 협심증(심질환에서 유래하는 흉통)과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완불능증과 식도 연축에서 모두 하부 식도 괄약근이 제대로 열리지 않으므로 일부 환자는 이완불능증(식도 율동 수축이 크게 저하되는 장애)과 식도 연축이 결합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복합 증상 중 하나를 활발한 이완불능증이라 불렀습니다. 이러한 활발한 이완불능증은 식도에 음식이 잔류하여 폐로 소량의 음식 흡입(흡인)을 초래하는 것과 식도 연축에 의한 심한 흉통을 특징으로 합니다.
진단
치료
식도 연축은 난치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니페디핀과 같은 칼슘 통로 차단제는 식도 근육을 이완시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육 이완을 위해 삼환계 항우울제를 사용하며 이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니트로글리세린이나 지속성 질산염, 콜린 억제 효과가 있는 약물(예: 디시클로민)과 같은 기타 약물은 성공률이 낮습니다.
약물이 도움이 되지 않을 경우, 때로는 의사가 보툴리눔 독소를 하부 식도 괄약근에 주사하기도 합니다.
어떤 이들은 치료하기가 매우 어려운 증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때로는, 외과의가 식도 전체 길이를 따라 근육층을 절개할 수도 있습니다(근절개술). 혹은, 위장병 전문의가 내시경검사 동안 이 근육층을 절단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