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

작성자:Josephine Elia, MD, Sidney Kimmel Medical College of Thomas Jefferson University
검토/개정일 2023년 5월 5일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이전에는 신체형 장애라 함)가 있다면 소아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체적 증상에 대해 유난히 강렬하게 반응하고, 증상에 대해 과도하게 생각하며, 증상에 대한 걱정이 과도하고, 의료 서비스를 남용하며, 건강에 대한 걱정이 삶의 중심을 차지할 수 있습니다.

  • 여러 유형의 신체 증상과 관련 장애들이 있습니다.

  • 증상은 신경계 장애의 증상(마비나 시력 상실 같은)과 비슷하거나, 모호(두통과 메스꺼움 같은)할 수 있고, 또는 소아가 상상 결함에 사로잡히거나, 심각한 질병이 있다고 확신하게 됩니다.

  •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신체적 장애를 배제하는 검사를 한 후 의사는 증상을 기준으로 진단합니다.

  • 종종 인지 행동 기법을 사용한 개별 및 가족 정신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체 증상과 관련 장애의 증상과 치료는 불안 장애와 매우 유사합니다.

신체 증상과 관련 장애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전환 장애: 증상은 신경계 장애 증상과 비슷합니다. 소아는 팔과 다리가 마비되고, 청력 또는 시력을 잃거나 발작과 유사할 수 있는 떨림을 보일 수 있습니다. 증상은 갈등이나 기타 스트레스 등 대부분 정신적 요인에 의해 촉발됩니다.

  • 다른 개인에 부과된 인위성 장애(이전 대리인의 뮌하우젠 증후군이라고도 함): 간병인(일반적으로 부모)이 의도적으로 소아의 신체적 증상을 왜곡하거나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소변 감염을 흉내내기 위해 혈액 또는 다른 물질을 소변 표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자신에게 부여하는 인위성 장애: 소아는 신체 증상이 있는 것처럼 가장하거나 신체 증상이 나타나도록 자신에게 특별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 질병 불안 장애: 소아는 자신이 아프거나 아프게 될 수 있을까 매우 걱정합니다. 소아는 신체적 증상 또는 실제 질환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 또는 질환이 있는 경우, 소아가 상황의 심각도에 비해 심하게 걱정합니다. 또한 불안감과 우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신체 증상 장애: 소아들에게 여러 증상이 나타나거나 하나의 심한 증상, 일반적으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은 구체적(복부 통증과 같이)이거나 모호할(피로와 같이) 수 있습니다. 신체의 어느 부분이나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습니다. 소아들은 증상들과 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결과를 지나치게 걱정합니다.

신체 증상과 관련 장애는 어린 남아와 어린 여아에서 동일하게 일반적이나, 청소년기 남아보다 청소년기 여아에서 보다 일반적입니다.

(성인의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의 개요도 참고.)

증상

이 장애 중 하나가 있는 소아는 통증, 호흡 곤란, 쇠약과 같은 다수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소아가 다른 장애를 가지고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가족 중 한 명이 심하게 아픈 경우, 소아가 종종 신체적 증상을 보입니다. 때때로 증상은 잘못 해석되는 정상적인 신체 감각 또는 불편입니다. 심리적 스트레스나 문제에 대한 반응으로 이러한 신체적 증상이 무의식적으로 나타난다고 생각됩니다(마음과 신체 참조). 증상은 의식적으로 조작되지 않으며 소아는 본인이 설명하는 증상을 실제로 경험합니다.

소아는 자신의 건강 및/또는 증상에 집중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증상의 심각도에 대해 걱정하고/하거나 건강이나 증상과 관련된 활동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진단

  • 의사 또는 행동 건강 전문가 방문

  • 때때로 증상에 관한 설문지

  • 신체 검사, 때때로 다른 장애를 배제하기 위한 검사

의사는 소아에게 증상을 묻고 신체 검사를 실시하며 때때로 증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신체적 장애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합니다. 그러나, 광범위한 실험실 검사로 신체적 문제가 있다고 소아가 더욱 확신할 수 있고 불필요한 진단 검사는 소아에게 정신적 충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실험실 검사는 회피합니다.

이 장애 중 하나를 진단하려면, 증상이 고통스럽거나 일상 생활 기능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어야 하며, 소아는 생각과 행동을 통해 건강 및/또는 증상에 대해 과도하게 걱정해야 합니다.

신체적 문제를 확인할 수 없다면, 의사는 표준 정신 건강 검사로 증상이 신체 증상 또는 관련 장애 때문인지 판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의사는 소아와 가족을 상담하여 잠재된 심리적 문제 또는 힘든 가족 관계 문제를 파악하려 시도합니다.

치료

  • 심리치료

  •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가게 하는 재활 프로그램

  • 때때로 증상 완화 약물

소아는 자신의 증상이 순전히 신체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심리치료사를 방문할 생각을 망설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종종 인지 행동 기법을 사용한 개별 및 가족 정신요법은 증상을 지속하는 사고와 행동의 패턴을 소아와 가족이 알아채는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사는 최면, 생체 피드백 및 이완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정신요법은 일반적으로 소아가 정상적인 일상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돕는 목적의 재활 프로그램과 병용합니다. 여기에는 물리 요법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다음의 이득이 있습니다.

  • 이는 신체 증상 또는 관련 장애로 인해 감소된 이동성 또는 근육 상실과 같은 실제적인 신체적 영향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 치료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위가 실시된 것처럼 소아가 느끼게 됩니다.

  • 치료에 소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듭니다.

또한 소아를 지원하고 정기적으로 진찰하며 모든 치료를 조율해 주는 일차 진료의사가 존재하는 것이 또한 중요합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라는 일종의 항우울제와 같은 약물을 사용하여 이러한 장애에 동반될 수 있는 통증이나 불안 또는 우울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