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거리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작성자:Brenda L. Tesini, MD, University of Rochester School of Medicine and Dentistry
검토/개정일 2023년 6월 1일

유행성 이하선염은 통증성 침샘 비대를 야기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성 감염입니다. 감염은 특히 청소년과 성인에서 고환, 뇌 및 췌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유행성 이하선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납니다.

  • 증상은 침샘 부기를 동반한 오한, 두통, 식욕 부진, 열 및 질병 느낌이 포함됩니다.

  • 진단은 전형적 증상을 근거로 합니다.

  • 치료는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합니다.

  • 대부분의 소아는 문제 없이 회복하지만 감염은 수막염이나 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백신 투여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소아는 감염된 사람이 기침하면서 나온 공기 중에 떠다니는 작은 수분 비말을 호흡하면서 또는 감염된 침에 오염된 물건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유행성 이하선염에 감염됩니다.

감염은 보통 2세 미만의 소아들, 특히 1세 미만의 소아들에서 발생하지 않습니다.

한 번의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 감염은 보통 평생 면역을 제공하며, 이는 한 번 유행성 이하선염을 앓은 경우 다시 이에 감염되지 않을 가능성이 가장 높음을 의미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홍역보다 전염성이 약합니다. 인구가 심하게 밀집된 지역에서는 유행성 이하선염이 해마다 발생하지만 늦겨울과 초봄에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발병은 주로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고 이전 유행성 이하선염을 앓지 않은 사람들에서 발생합니다. 그러나 예방접종을 받은 사람들에서 전염병 유행이 발생했으며, 아마도 이는 일부 사람들의 경우 예방접종 후 면역을 생성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부 사람들은 권장되는 횟수의 백신 용량을 투여받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예방접종 전, 유행성 이하선염은 학령기 소아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이 감염은 면역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청소년과 성인들에서 보다 일반적이 되었습니다.

예방접종은 미국에서 유행성 이하선염 사례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습니다. 그러나 유행성 이하선염이 낮을 발생률로 여전히 발생합니다. 2006년 미국에서 유행성 이하선염의 유행으로 6,584건의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이 시점 이후로, 주로 대학 캠퍼스와 다른 긴밀하게 조직된 공동체에서 발생한 산발적인 발병은 낮게는 2012년의 229건에서 높게는 2016년의 6,369건까지 변동이 심한 사례의 원인이었습니다. 이러한 발병은 지속적인 예방접종 사용의 필요성을 부각시켜주었습니다.

홍역과 마찬가지로, 유행성 이하선염은 유행성 이하선염이 더 흔한 지역으로 여행하고 미국으로 돌아가기 전 해외에서 유행성 이하선염에 걸리는 사람에 의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그 후 이 감염된 여행자들은 특히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예: 대학 캠퍼스) 또는 혼잡한 환경에서 거주하거나 외부인과의 접촉을 제한하는 긴밀하게 조직된 공동체의 사람들에게 감염을 전파합니다.

주요 침샘들의 위치

유행성 이하선염의 증상

유행성 이하선염의 증상은 감염 후 12 - 24일째에 시작됩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오한, 두통, 식욕 부진, 전반적인 병감(불안감), 미열 내지 중등도 발열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12~24시간이 지나 침샘 부기(이하선염)를 동반하고, 이는 2일째에 가장 두드러지며 5~7일간 지속됩니다.

일부 소아의 경우 다른 증상 없이 침샘 부기만 발생합니다. 부기는 씹거나 삼킬 때, 특히 감귤류 주스와 같이 산성 음료를 삼킬 때 통증을 유발합니다. 침샘은 만지면 아픕니다. 이 단계에서 체온은 보통 103 또는 104°F(약 39.5 또는 40°C)까지 오르고 1 - 3일간 지속됩니다.

약 25~30%의 사람들은 증상이 없습니다.

볼거리 바이러스
상세정보 숨기기
유행성 이하선염은 통증성 침샘 비대가 특징입니다.
Sylvan Stool, MD 제공 사진

유행성 이하선염의 합병증

유행성 이하선염은 다음을 포함하여 침샘 외의 다른 기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고환

  • 뇌 및 뇌를 덮는 조직

  • 췌장

사춘기 후,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감염 남성의 약 30%와 예방접종을 받은 감염 남성의 6%에서 한쪽 또는 양쪽 고환 염증(고환염)이 발생합니다. 고환 염증은 부종과 심각한 통증을 일으킵니다. 치유가 되면 영향을 받은 고환은 더 작아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테스토스테론 생성과 생식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여성들에서 난소 염증(난소염)이 드물게 발견되고 통증이 덜하며 수태능을 손상시키지 않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침샘 부기가 있는 환자들의 1~10%에서 뇌를 덮고 있는 조직 층의 염증(수막염)으로 진행됩니다. 수막염은 두통, 구토 및 목 경직을 일으킵니다.

또한 유행성 이하선염이 1,000명 중 1명에서 뇌 염증(뇌염)을 일으킵니다. 뇌염은 졸음, 혼수 또는 발작을 일으킵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완전히 회복되나, 일부는 난청 또는 얼굴 근육 마비와 같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한 측면에만 영향을 미치는 영구적인 신경 또는 뇌 손상을 경험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백신접종률이 낮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소아의 일측성 난청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집니다.

췌장 염증(췌장염)이 감염 첫 주가 끝나갈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장애는 복통, 중증의 메스꺼움, 구토를 야기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약 1주 정도에 사라지고 그 환자는 완전히 회복됩니다.

간, 신장 또는 심장 근육 부종과 같은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지만 극히 드뭅니다. 이미 백신접종을 받은 사람들에서 합병증이 덜 흔하게 발생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진단

  • 의사의 평가

  • 실험실 검사

의사는 특히 유행성 이하선염의 유행 중에 발생하는 경우 전형적인 증상을 근거로 유행성 이하선염을 진단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와 그 항체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검사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는 진단을 확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나, 보통 공중 보건 목적으로 유행을 문서화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척추 천자는 수막염 또는 뇌염의 징후가 있는 사람에서 실시합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치료

  • 불편을 위한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

유행성 이하선염에 대한 특정한 치료는 없습니다.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아는 연식을 섭취하고, 많이 씹어야 하거나 산성인 음식을 피해야 합니다. 두통과 불편에 대해 아세트아미노펜 및 이부프로펜과 같은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고환 염증이 있는 소년이나 남성은 침상 안정이 필요합니다. 운동선수용 국부 서포터나 허벅지 사이를 연결한 접착 테이프 브리지를 이용해 음낭을 지지해 줄 수 있습니다. 통증 완화를 위해 얼음 찜질을 할 수 있습니다.

췌장염이 중증 메스꺼움과 구토를 일으키는 경우, 정맥을 통해(정맥내) 수액을 투여할 수 있고 며칠 동안 어떠한 음식 또는 음료로 섭취하지 말아야 합니다.

수막염 또는 뇌염을 앓는 소아가 정맥내 수액, 열 또는 두통용의 아세트아미노펜 또는 이부프로펜을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발작이 발생하면 항발작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예후

유행성 이하선염의 거의 모든 환자들이 문제 없이 완전히 회복되나, 드문 경우 약 2주 후에 증상이 다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유행성 이하선염의 예방

  • MMR 백신

더 이상 유행성 이하선염만의 단독 백신은 없습니다. 홍역-볼거리-풍진(MMR) 백신은 살아 있으나 약화된 홍역, 볼거리, 풍진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혼합 백신입니다. MMR 백신은 정기적인 소아기 예방접종 중 하나이며, 견실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갖춘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소아에게 접종합니다. MMR 백신과 수두 백신이 또한 혼합백신(MMRV 백신)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2회 용량의 MMR 백신이 정기적으로 권장됩니다. 첫 번째 용량은 생후 12~15개월 사이에 접종하나, 홍역 유행 중 또는 해외 여행 전에는 생후 6개월 소아에게도 접종시킬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용량은 4세~6세 사이에 접종합니다.

예방접종 당시 생후 1세 미만이었던 소아도 첫 번째 생일 후 2회의 추가 용량을 접종받아야 합니다.

일부 소아에서 백신이 미열과 발진을 야기하나, 전염성이 없습니다. MMR 백신은 자폐증을 야기하지 않습니다(MMR 백신과 자폐증에 대한 우려 참조).

MMR 백신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면역을 제공합니다.

MMR은 생백신이며 임신 중 투여하지 않습니다.

발병 기간 동안, 백신을 접종받았지만 볼거리 발병 위험이 높은 사람들(대학생이나 볼거리 발병 지역에 사는 이들 등)에게는 세 번째 용량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MMR 백신을 접종받아야 할 사람과 MMR 백신을 접종받지 말아야 사람에 대한 추가 정보는 MMR 백신 투여를 참조하십시오. 또한 MMR 백신의 부작용도 참조하십시오.